서울시내를 '공공미술 갤러리'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 시청광장,덕수궁 돌담길,동대문운동장,서울역,청계천,한강 일대 등 시내 24곳에 공공미술 작품이 설치된다.
서울시는 서울의 도시경관을 아름답게 만들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작품을 즐길 수 있도록 '도시갤러리 프로젝트'의 기본계획과 시범사업을 확정,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미술,건축,디자인,철학,관광 등 각계 전문가 30명이 참여한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위원장 강희덕)를 구성했으며 올 연말까지 25억원의 예산을 들여 4개 분야 41개 시범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위원회는 우선 시청을 중심으로 한 '도심 역사권역'과 한강ㆍ청계천 주변의 '천변ㆍ한강 권역' 등 2개 권역별로 24곳의 공공장소에 역사적,생태적,문화적 컨셉트를 담은 공공예술 작품을 설치키로 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오는 3월부터 서울시립미술관에 이들 작품의 초보적인 드로잉,모형 등을 전시해 시민의 검증을 받을 것"이라며 "이르면 5월 늦어도 7월까지는 미술작품 설치를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예술작품이 설치될 공공장소는 시청 청사,서울광장,덕수궁 돌담길,정동 로터리,동대문운동장,남대문,남산 식물원 철거지,서울역 등 13곳(도심권역)과 한강 자전거도로,동작대교,서래섬,청계천 고산자교 등 11곳(한강권역)을 포함해 모두 24곳이 선정됐다.
위원회는 또 벤치,버스 정류장 쉼터,가로등,맨홀 뚜껑 등 거리 시설물과 시립병원,복지시설 등 공공 건물을 우아하게 꾸미는 '공공미술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시민,예술가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가운데 6개를 골라 시가 전액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위원회는 '소울 오브 서울(Soul of Seoul)' 포럼을 구성해 2008년까지 에펠탑(파리),오줌 누는 소년상(브뤼셀)처럼 도시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세울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고 아이디어를 공모할 방침이다.
이 밖에 위원회는 뉴타운,균형발전 촉진지구,재개발ㆍ재건축 지역,서울시 신청사,SH공사가 짓는 아파트 등 시가 추진하는 개발사업 중 10군데를 골라 공공미술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
서울시는 서울의 도시경관을 아름답게 만들고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예술작품을 즐길 수 있도록 '도시갤러리 프로젝트'의 기본계획과 시범사업을 확정,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미술,건축,디자인,철학,관광 등 각계 전문가 30명이 참여한 '서울시 공공미술위원회'(위원장 강희덕)를 구성했으며 올 연말까지 25억원의 예산을 들여 4개 분야 41개 시범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위원회는 우선 시청을 중심으로 한 '도심 역사권역'과 한강ㆍ청계천 주변의 '천변ㆍ한강 권역' 등 2개 권역별로 24곳의 공공장소에 역사적,생태적,문화적 컨셉트를 담은 공공예술 작품을 설치키로 했다.
위원회 관계자는 "오는 3월부터 서울시립미술관에 이들 작품의 초보적인 드로잉,모형 등을 전시해 시민의 검증을 받을 것"이라며 "이르면 5월 늦어도 7월까지는 미술작품 설치를 완료하겠다"고 말했다.
예술작품이 설치될 공공장소는 시청 청사,서울광장,덕수궁 돌담길,정동 로터리,동대문운동장,남대문,남산 식물원 철거지,서울역 등 13곳(도심권역)과 한강 자전거도로,동작대교,서래섬,청계천 고산자교 등 11곳(한강권역)을 포함해 모두 24곳이 선정됐다.
위원회는 또 벤치,버스 정류장 쉼터,가로등,맨홀 뚜껑 등 거리 시설물과 시립병원,복지시설 등 공공 건물을 우아하게 꾸미는 '공공미술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시민,예술가들이 제안한 아이디어 가운데 6개를 골라 시가 전액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위원회는 '소울 오브 서울(Soul of Seoul)' 포럼을 구성해 2008년까지 에펠탑(파리),오줌 누는 소년상(브뤼셀)처럼 도시를 대표하는 상징물을 세울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고 아이디어를 공모할 방침이다.
이 밖에 위원회는 뉴타운,균형발전 촉진지구,재개발ㆍ재건축 지역,서울시 신청사,SH공사가 짓는 아파트 등 시가 추진하는 개발사업 중 10군데를 골라 공공미술 사업을 시범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