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금감위원장 "生保, 상장 논쟁 이제 그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윤증현 금융감독위원장 겸 금융감독원장은 17일 "생명보험사 상장과 관련된 소모적인 논쟁은 종결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는 '생보사는 주식회사이며 따라서 상장 차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할 근거가 없다'는 생보사 상장자문위원회 결론에 맞춰 생보사들이 상장할 수 있도록 금융감독 당국이 관련 규정을 개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윤 위원장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보험개발원 주최 보험 최고경영자 조찬 강연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보험업계 스스로도 그간의 일부 부정적 이미지를 씻고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8년간 지속된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것인지 아니면 다시 넘어갈지는 보험 업계에 달려 있다"며 "다시 한번 (사회공헌 활동을) 강력하게 요청 드린다"고 덧붙였다.
상장 때 주주들이 막대한 차익을 얻게 되는 만큼 생보사들이 국민 정서 등을 감안해 공익기금 출연 등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나서 줄 것을 간접적으로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삼성생명 교보생명 등 대형 생보사를 중심으로 공익기금 출연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논의 대상은 공익기금 출연 생보사,기금 규모,사용처 등이 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업계가 여러 가지 사회공헌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증권거래소의 상장안이 최종 결정되면 좀 더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18년 동안 생보사 상장이 방치된 것은 당사자인 생보사뿐 아니라 정부를 비롯한 모두의 책임"이라며 "생보사가 상장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자본 확충이 가능해질 경우 재무 구조가 건실해지고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성도 제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
이는 '생보사는 주식회사이며 따라서 상장 차익을 계약자에게 배분할 근거가 없다'는 생보사 상장자문위원회 결론에 맞춰 생보사들이 상장할 수 있도록 금융감독 당국이 관련 규정을 개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윤 위원장은 이날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보험개발원 주최 보험 최고경영자 조찬 강연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보험업계 스스로도 그간의 일부 부정적 이미지를 씻고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8년간 지속된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것인지 아니면 다시 넘어갈지는 보험 업계에 달려 있다"며 "다시 한번 (사회공헌 활동을) 강력하게 요청 드린다"고 덧붙였다.
상장 때 주주들이 막대한 차익을 얻게 되는 만큼 생보사들이 국민 정서 등을 감안해 공익기금 출연 등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나서 줄 것을 간접적으로 주문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삼성생명 교보생명 등 대형 생보사를 중심으로 공익기금 출연 논의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논의 대상은 공익기금 출연 생보사,기금 규모,사용처 등이 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업계가 여러 가지 사회공헌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증권거래소의 상장안이 최종 결정되면 좀 더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위원장은 "18년 동안 생보사 상장이 방치된 것은 당사자인 생보사뿐 아니라 정부를 비롯한 모두의 책임"이라며 "생보사가 상장을 통해 다양한 방식의 자본 확충이 가능해질 경우 재무 구조가 건실해지고 경영의 투명성과 책임성도 제고될 수 있다"고 말했다.
장진모 기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