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4차 뉴타운 지정을 유보한 것은 집값 자극을 우려해서다.

특히 지난해 여름 서울시가 공개한 은평뉴타운의 고분양가가 수도권 전체 집값 급등을 촉발한 계기로 지목돼 서울시로선 행보가 더욱 조심스러워졌다.

또 재정지원 미비에 주민 간 갈등 심화,용적률 및 층고 규제 등으로 기존 뉴타운 사업이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 요인이 됐다.

서울시가 2005년 말 발표한 3차 뉴타운은 아직 개발의 초기단계인 촉진 계획조차 수립하지 못했다.

한남 같은 2차 뉴타운 지역도 층고와 용적률 제한 때문에 기본 계획을 마련하지 못한 상태이며 시범 뉴타운인 왕십리는 착공에도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서울시 뉴타운사업단 관계자는 "3차 뉴타운의 경우 지구마다 촉진계획 진척 정도가 다르지만 올 상반기 안에는 모두 마쳐 하반기부터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적어도 3차 뉴타운의 촉진계획 수립이 모두 마무리되고 주택 시장이 안정된 뒤에나 4차 뉴타운 추가 지정에 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추가 뉴타운 개발의 실효성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별 효과를 내지도 못하고 집값만 올리는 뉴타운을 확대할 것이 아니라 기존 뉴타운 사업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는 것이 우선이라는 시각도 강하기 때문이다.

내외주건의 김신조 사장은 "업적 쌓기에 치중해 단기간에 너무 많은 뉴타운을 지정한 측면이 있다"며 "기존 뉴타운 사업에 재정과 행정력을 집중해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뒤 순차적으로 추가 뉴타운을 개발해야 집값 급등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타운의 효과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강하다.

길음뉴타운 내 대우푸르지오 아파트에 입주한 장재경씨(37)는 "도로와 공원 등 도시 기반시설에 대한 지원이 별로 이뤄지지 않아 출퇴근 때마다 교통 체증에 시달리는 등 뉴타운이 기존 재개발보다 확연히 낫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지 못하겠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조성근 기자 trut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