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재테크 포인트] 돈굴리기 첫걸음은 '자기 계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요즘 들어 부자가 되려면 얼마만큼 가지고 있어야 되느냐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문의를 많이 받는다.
분명한 것은 돈은 어떤 사람이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데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점이다.
그런 만큼 부자도 '얼마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정해진 것이 아니라 특정 사람이 추구하는 삶을 유지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문제는 최근 들어 삶의 주기가 급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대부분 사람들은 20대 후반에서 직장생활을 하기 시작해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법정정년인 58세 전후까지 근무가 가능했다.
평균수명도 70∼74세에 불과해 은퇴후 기간이 길어야 15년 안팎이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특별한 노후설계가 필요없거나 지금과 같은 큰 관심이 없었던 시기다.
근로기간중에 얼마를 저축하든 간에 퇴직금 누적제가 실시돼 한 직장에서 30년 동안 근무할 경우 어느 정도 은퇴후 자금이 확보됐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근로자의 정년이 갈수록 앞당겨지고 있다.
반면 평균수명은 길어져 지금 한창 일할 40대 중반의 경우 90세까지는 살 수 있다는 것이 관련기관의 견해다.
이제는 은퇴후 기간이 길게는 40년 이상 길어졌다는 의미다.
이런 삶의 주기에 부족함이 없이 살아가려면 적정주거공간을 마련하는 자금까지 포함할 경우 불과 몇년 전에 비해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처럼 퇴직금 누진제가 폐지되고 가구당 주소득원인 임금의 현 수준으로는 마련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런 만큼 이제는 길어진 삶의 주기를 풍요롭게 살기 위해서는 종전보다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바로 교육이나 자기계발(HR)을 통해 직업의 귀천이 없이 해당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는 것이 부자가 되는 지름길이다.
대표적인 예로 가수 비나 이효리처럼 한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가 되면 보통 사람들이 생애에 걸쳐 벌 수 있는 소득을 불과 몇년 만에 벌어들일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이런 차원에서 우리 교육체계도 변해야 한다.
지금처럼 타고난 소질과 관계없이 모든 과목에서 일등급을 받아 일류대에 진학해 특징이 없는 엘리트를 만들어내는 교육체계에서는 길어진 삶을 충족시킬 수 없어 갈수록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보통 사람의 경우 이제는 재교육이 필수적이다.
젊었을 때 받은 공교육을 통해 은퇴 이전의 삶과 은퇴 이후에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마련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자금은 재교육을 통해 은퇴 이후에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이런 현상은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다.
일부 미국 대학의 경우 MBA 과정에 등록하는 사람 가운데 40세 이후 학생의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것이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이재호 미래에셋증권 자산운용컨설팅 상무는 "은퇴 이후의 자금은 교육이나 자기계발을 통해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며 "지금 유행하고 있는 근로자 혹은 가구당 두 개의 직업(two jobs)이나 재테크를 통한 재산증식 수단은 차선책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에 대한 시각도 바뀌어야 한다.
최근처럼 상속세와 증여세가 높아져 물려준 부동산이 자식들의 길어진 삶의 안전판(safety valve) 기능이 떨어진 시대에 있어서는 현 세대에서 어렵게 마련한 부동산은 역모기지론 등을 통해 부족한 노후자금을 보충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
대신 자식들에게는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교육기회를 충분히 보장해 주는 쪽으로 변해야 한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분명한 것은 돈은 어떤 사람이 삶의 행복을 추구하는데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는 점이다.
그런 만큼 부자도 '얼마 정도는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정해진 것이 아니라 특정 사람이 추구하는 삶을 유지하는데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문제는 최근 들어 삶의 주기가 급변하고 있다는 점이다.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대부분 사람들은 20대 후반에서 직장생활을 하기 시작해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법정정년인 58세 전후까지 근무가 가능했다.
평균수명도 70∼74세에 불과해 은퇴후 기간이 길어야 15년 안팎이었다.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특별한 노후설계가 필요없거나 지금과 같은 큰 관심이 없었던 시기다.
근로기간중에 얼마를 저축하든 간에 퇴직금 누적제가 실시돼 한 직장에서 30년 동안 근무할 경우 어느 정도 은퇴후 자금이 확보됐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근로자의 정년이 갈수록 앞당겨지고 있다.
반면 평균수명은 길어져 지금 한창 일할 40대 중반의 경우 90세까지는 살 수 있다는 것이 관련기관의 견해다.
이제는 은퇴후 기간이 길게는 40년 이상 길어졌다는 의미다.
이런 삶의 주기에 부족함이 없이 살아가려면 적정주거공간을 마련하는 자금까지 포함할 경우 불과 몇년 전에 비해 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처럼 퇴직금 누진제가 폐지되고 가구당 주소득원인 임금의 현 수준으로는 마련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런 만큼 이제는 길어진 삶의 주기를 풍요롭게 살기 위해서는 종전보다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바로 교육이나 자기계발(HR)을 통해 직업의 귀천이 없이 해당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는 것이 부자가 되는 지름길이다.
대표적인 예로 가수 비나 이효리처럼 한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가 되면 보통 사람들이 생애에 걸쳐 벌 수 있는 소득을 불과 몇년 만에 벌어들일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이런 차원에서 우리 교육체계도 변해야 한다.
지금처럼 타고난 소질과 관계없이 모든 과목에서 일등급을 받아 일류대에 진학해 특징이 없는 엘리트를 만들어내는 교육체계에서는 길어진 삶을 충족시킬 수 없어 갈수록 국민들로부터 외면당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보통 사람의 경우 이제는 재교육이 필수적이다.
젊었을 때 받은 공교육을 통해 은퇴 이전의 삶과 은퇴 이후에 필요한 자금의 일부를 마련한다 하더라도 나머지 자금은 재교육을 통해 은퇴 이후에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미 이런 현상은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다.
일부 미국 대학의 경우 MBA 과정에 등록하는 사람 가운데 40세 이후 학생의 비율이 크게 높아지고 있는 것이 이 같은 사실을 뒷받침해 준다.
이재호 미래에셋증권 자산운용컨설팅 상무는 "은퇴 이후의 자금은 교육이나 자기계발을 통해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며 "지금 유행하고 있는 근로자 혹은 가구당 두 개의 직업(two jobs)이나 재테크를 통한 재산증식 수단은 차선책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에 대한 시각도 바뀌어야 한다.
최근처럼 상속세와 증여세가 높아져 물려준 부동산이 자식들의 길어진 삶의 안전판(safety valve) 기능이 떨어진 시대에 있어서는 현 세대에서 어렵게 마련한 부동산은 역모기지론 등을 통해 부족한 노후자금을 보충하는 용도로 사용해야 한다.
대신 자식들에게는 소득을 올릴 수 있는 교육기회를 충분히 보장해 주는 쪽으로 변해야 한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