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고온으로 국내에서도 이산화탄소(CO2) 감축 사업이 '돈 되는 사업'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선 결국 온실가스의 원인인 이산화탄소를 줄여야 하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이산화탄소 감축 산업이 시작된 것은 2005년 2월 이후부터다.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한 교토의정서에 따라 청정개발제도(Clean Development Mechanism)가 도입되면서다.

CDM은 선진국 기업이 개발도상국이나 자국에 투자해 그곳에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줄이면 그 감축분만큼 배출권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한 제도다.

국내 기업들은 이산화탄소를 줄인 만큼 이를 다른 나라에 되팔 수 있다는 얘기다.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 승인된 이산화탄소 감축 사업은 14건이다.

이 중 7건은 유엔에 배출권 등록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7건은 등록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산화탄소 감축 사업은 국내 승인 뒤 유엔 등록을 거쳐야 배출권을 인정받을 수 있다.

2005년 울산화학이 주축이 돼 연간 140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 실적을 인정받은 데 이어 한국수자원공사 동서발전 지역난방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등이 잇따라 이 사업에 참여했다.

프랑스 일본 등 외국 기업의 참여도 잇따르고 있다.

특히 프랑스 정밀화학업체인 로디아는 2005년 11월 국내에선 사상 최대인 연간 915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 실적을 인정받았다.

현재 유럽 등 서구 기업이 배출권을 사들이는 가격은 t당 8달러 정도로 알려져 있다.

로디아 입장에선 연간 7320만달러(약 695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는 계산이다.

산자부 김현철 에너지환경팀장은 "온실가스 감축 사업은 투자 비용 대비 수익률이 괜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산화탄소의 배출권을 사고 판 양은 작년 1~9월 215억달러(약 20조4000억원)로 2005년 한 해 시장 규모의 배에 달했다.

배출권을 산 기업의 86%는 영국 등 유럽 기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