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미분양 아파트 증가세 여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미분양 아파트가 작년 하반기 집값 급등 여파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지방은 오히려 늘어나면서 침체가 장기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양가상한제(원가연동제) 도입이 결정되면서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가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는 바람에 민간부문 미분양도 소폭 늘어났다.
30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11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6만9597가구로 전달(6만9857가구)보다 0.4% 줄어드는 등 작년 10월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 미분양 물량이 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4603가구로 이전 달(5997가구)보다 23.2% 줄어 두 달 연속 20% 넘는 감소세가 지속됐다.
특히 검단신도시의 영향을 받은 인천은 51%나 줄었다.
반면 지방은 6만4994가구로 이전 달(6만3860가구)보다 1.7% 늘어났다.
공급 주체별로는 주택공사와 지방공사 등 공공부문 아파트 가운데 미분양은 5178가구로 전월의 6219가구보다 16.7%나 줄어들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하지만 민간아파트는 6만4419가구로 전달에 비해 1.2% 늘어 2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됐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
또 분양가상한제(원가연동제) 도입이 결정되면서 민간 아파트의 분양가가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는 바람에 민간부문 미분양도 소폭 늘어났다.
30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11월 말 현재 전국의 미분양 아파트는 6만9597가구로 전달(6만9857가구)보다 0.4% 줄어드는 등 작년 10월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 미분양 물량이 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4603가구로 이전 달(5997가구)보다 23.2% 줄어 두 달 연속 20% 넘는 감소세가 지속됐다.
특히 검단신도시의 영향을 받은 인천은 51%나 줄었다.
반면 지방은 6만4994가구로 이전 달(6만3860가구)보다 1.7% 늘어났다.
공급 주체별로는 주택공사와 지방공사 등 공공부문 아파트 가운데 미분양은 5178가구로 전월의 6219가구보다 16.7%나 줄어들어 석 달 연속 감소했다.
하지만 민간아파트는 6만4419가구로 전달에 비해 1.2% 늘어 2개월 만에 증가세로 반전됐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