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한나라당 강재섭 대표 간의 이른바 '민생회담'이 어렵사리 성사됐다.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과 박재완 한나라당 대표 비서실장이 30일 실무접촉을 갖고 회담 의제와 관련,'개헌'을 제외하고 민생경제 대책과 2월국회 입법처리 문제로 국한하기로 한 데 따른 것이다.

내주로 예상되는 회담 일정은 1일 2차 실무접촉에서 확정된다.

개헌논의를 제외하자는 한나라당의 요구를 수용한 것과 관련,청와대 윤승용 대변인은 "야당과 무릎을 맞대야 한다는 여론이 있고,(개헌과 같은)그런 문제에 구애를 받지 않고 만나는 게 좋겠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요의제는 국민연금법안,'1·11부동산대책'후속법안,사법개혁관련법안(로스쿨법안) 등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회담 개최의 걸림돌이었던 개헌문제가 제외됨에 따라 현안에 대한 이견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란 기대감이 있지만,양측의 인식차가 만만찮아 큰 틀의 합의도출이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

국민연금법안과 관련,한나라당은 여전히 '기초연금제'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또 정부의 민간아파트 분양원가 공개에 반대하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사학법 재개정안 처리 카드를 들고 나올 것으로 예상돼 노 대통령에겐 부담이다.

여당의 정체성이 걸린 사안으로,한나라당 입장을 수용할 경우 여당의 분란을 가중시켰다는 비판론에 직면할 수 있다.

결국 사학법 문제는 양측이 기존의 입장을 되풀이하는 선에서 평행선을 그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홍영식·이심기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