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이미 여당에 퇴출명령" ‥ '親盧' 염동연 의원 탈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열린우리당 염동연 의원(광주 서구갑)이 30일 "중도개혁 통합신당 건설과 새로운 대안세력의 정권 창출에 정치생명을 걸겠다"며 탈당했다.
지난 22일 임종인 의원을 시작으로 여당 의원으로 다섯 번째다.
염 의원의 탈당으로 열린우리당 의석은 134석으로 줄어들어 한나라당(127석)과의 의석 격차가 7석으로 좁혀졌다.
염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 탄생의 '일등공신'이자 여당 내 호남지역 의원들의 '좌장'이란 점에서 그의 탈당은 호남 지역구 의원은 물론 다른 의원들의 탈당 움직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윤 창출못한 기업은 파산 운명"
염 의원은 이날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서를 통해 "이윤을 창출하지 못한 기업이 파산의 운명을 피할 수 없듯이 국민의 신뢰를 상실한 정당은 소멸의 길을 갈 수밖에 없다"며 "수 차례의 보궐선거와 지난 지방선거에서 확인됐 듯이 국민은 열린우리당에 퇴출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자간담회에서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을 이뤄낼 동력을 상실했다"고 당의 발전적 해체를 주문하면서 중도개혁주의 정치세력과 양심적 시민사회세력,건전한 전문가 그룹이 제 3지대에 모이는 통합신당 건설을 주장했다.
염 의원은 탈당파 의원들의 향후 계획과 관련,"원내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도 1차적 목표가 될 수 있다"며 "민주당 의원과 대화를 해 본 적이 있으며 일단 2∼3일 광주에 머문 뒤 대통합의 밑거름과 전도사의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연쇄 탈당 재점화 조짐
기초당원제 도입을 결정한 중앙위원회를 계기로 주춤할 것으로 예상됐던 연쇄 탈당의 불씨가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염 의원에 이어 김한길 원내대표와 강봉균 정책위 의장,노웅래 원내 공보담당 부대표,박상돈 의원 등 중도실용 의원들의 '탈당 불가피' 주장이 계속 이어지면서 이르면 이번 주 말께 집단 탈당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로 임기가 만료되는 김 원내대표는 고위정책조정회의에서 "중앙위에서 당의 진로에 대한 절차적 난관을 넘어섰는데 본질적 문제에 대한 고민은 충분치 못하다"며 "국민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변화가 과연 열린우리당 중심의 변화인 것인지 알아봐야 한다"고 밝혔다.
중도파와 사수파가 주장하는 '질서 있는 통합론'에 대한 비판으로,당 해체를 명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대를 통해 통합수임기구를 구성해봐야 '도로 열린우리당'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강 정책위 의장도 "질서 있게 신당을 만든다고 해서 많은 시간을 지체할 여유가 없다"며 탈당을 결심한 듯한 속내를 내비쳤다.
그는 특히 "전대 이전에 탈당을 생각하는 의원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고 말해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기획 탈당설'에 무게를 실었다.
박상돈 의원도 "중앙위의 당헌 개정으로 열린우리당이 사실상 노무현 대통령 통제 아래에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20명이라도 나갈 가치가 있다"며 집단 탈당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
지난 22일 임종인 의원을 시작으로 여당 의원으로 다섯 번째다.
염 의원의 탈당으로 열린우리당 의석은 134석으로 줄어들어 한나라당(127석)과의 의석 격차가 7석으로 좁혀졌다.
염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 탄생의 '일등공신'이자 여당 내 호남지역 의원들의 '좌장'이란 점에서 그의 탈당은 호남 지역구 의원은 물론 다른 의원들의 탈당 움직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윤 창출못한 기업은 파산 운명"
염 의원은 이날 개인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서를 통해 "이윤을 창출하지 못한 기업이 파산의 운명을 피할 수 없듯이 국민의 신뢰를 상실한 정당은 소멸의 길을 갈 수밖에 없다"며 "수 차례의 보궐선거와 지난 지방선거에서 확인됐 듯이 국민은 열린우리당에 퇴출 명령을 내렸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기자간담회에서 "열린우리당은 대통합을 이뤄낼 동력을 상실했다"고 당의 발전적 해체를 주문하면서 중도개혁주의 정치세력과 양심적 시민사회세력,건전한 전문가 그룹이 제 3지대에 모이는 통합신당 건설을 주장했다.
염 의원은 탈당파 의원들의 향후 계획과 관련,"원내 교섭단체를 만드는 것도 1차적 목표가 될 수 있다"며 "민주당 의원과 대화를 해 본 적이 있으며 일단 2∼3일 광주에 머문 뒤 대통합의 밑거름과 전도사의 길을 걷겠다"고 말했다.
◆연쇄 탈당 재점화 조짐
기초당원제 도입을 결정한 중앙위원회를 계기로 주춤할 것으로 예상됐던 연쇄 탈당의 불씨가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염 의원에 이어 김한길 원내대표와 강봉균 정책위 의장,노웅래 원내 공보담당 부대표,박상돈 의원 등 중도실용 의원들의 '탈당 불가피' 주장이 계속 이어지면서 이르면 이번 주 말께 집단 탈당이 현실화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로 임기가 만료되는 김 원내대표는 고위정책조정회의에서 "중앙위에서 당의 진로에 대한 절차적 난관을 넘어섰는데 본질적 문제에 대한 고민은 충분치 못하다"며 "국민이 우리에게 요구하는 변화가 과연 열린우리당 중심의 변화인 것인지 알아봐야 한다"고 밝혔다.
중도파와 사수파가 주장하는 '질서 있는 통합론'에 대한 비판으로,당 해체를 명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대를 통해 통합수임기구를 구성해봐야 '도로 열린우리당'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강 정책위 의장도 "질서 있게 신당을 만든다고 해서 많은 시간을 지체할 여유가 없다"며 탈당을 결심한 듯한 속내를 내비쳤다.
그는 특히 "전대 이전에 탈당을 생각하는 의원들이 많은 것으로 안다"고 말해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기획 탈당설'에 무게를 실었다.
박상돈 의원도 "중앙위의 당헌 개정으로 열린우리당이 사실상 노무현 대통령 통제 아래에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
20명이라도 나갈 가치가 있다"며 집단 탈당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