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비즈 도시 … 산업단지 회생 … 광개토 전략

대선정국이 본격화하면서 한나라당 대선주자들이 경제·교육 등 국민적 이슈를 둘러싼 정책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경제성장 전략과 관련,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한반도 대운하' 건설을 주창하며 지지율 고공행진을 이어가자 박근혜 전 대표와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각각 '한ㆍ중ㆍ일 열차페리' 구상과 '21세기 광개토전략'으로 맞불을 놓았다.

지역균형 발전,성장동력 확충과 관련해선 이 전 시장이 '과학비즈니스도시' 건설을 공약하자 박 전 대표는 '산업단지 회생 프로젝트'를 내놓으며 '눈에는 눈,이에는 이'식의 정책 맞대결을 벌이고 있다.

◆정책공방 본격화=공세를 취하는 쪽은 박 전 대표와 손 전 지사다.

두 사람은 31일 새로운 정책공약을 발표하며 이 전 시장에 대한 공격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손 전 지사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동아시아미래재단 주최로 열린 '21세기 광개토전략 정책설명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60~70년대 개발독재의 시대에 국가가 모든 자원과 제도를 틀어쥐고 기업들을 진두지휘해서 이뤄냈던 '한강의 기적'에 안주하고 아직도 그 향수에 젖어 있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전 시장의 한반도 대운하 공약을 겨냥한 발언이다.

그는 "제3의 산업혁명이라 일컬어지는 정보통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창조적 지식 산업으로 선진국과의 경쟁에서 이겨내야 한다"며 △매출액 100조원 이상의 세계일류기업 10개 육성 △세계 100대 대학 10개 배출 △한·중·일 경제협력체 추진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박 전 대표도 이날 기자간담회를 갖고 교육 관련 정책공약을 발표했다.

2주 전 산업단지 회생프로젝트에 이어 릴레이 공약발표의 두 번째다.

박 전 대표는 이 자리에서 "저소득층 아이들은 어릴 때부터 문화 및 정보 격차에 노출돼 있는데도 이를 그대로 두고 같이 경쟁하라고 하면 결국 가난의 대물림으로 이어진다"며 문화·교육·정보통신 분야에서 '바우처 제도'를 도입하자고 했다.

바우처란 저소득층이 보육,교육,훈련,문화,주택,의료,식료품 지원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지불을 보증해 주는 증서로 일종의 이용권(교환권)이다.

박 전 대표는 또 고교평준화 문제와 관련,"여론조사를 해본 결과 주민투표로 결정하는 게 좋다는 의견이 63.3%에 달했다"며 "16개 광역자치단체 주민들이 투표로 결정하도록 하면 어떻겠느냐"고 제안했다.


◆액션플랜에서도 맞불 전략=최근 들어 세 주자는 약속이라도 한 듯 산업단지들을 잇따라 찾고 있다.

차기 대선후보의 제1덕목으로 떠오른 '경제지도자'이미지를 만들어내기에는 산업단지 방문이 제격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같은 움직임은 특히 박 전 대표가 '산업단지회생 프로젝트' 발표 후 기획성 집중방문에 나서면서 더욱 강화되는 분위기다.

일찌감치 기업체와 산업단지 방문에 공을 들여온 이 전 서울시장과 손 전 경기지사도 방문 횟수를 부쩍 늘리는 추세다.

박 전 대표는 산업단지 회생 프로젝트를 발표한 직후인 지난 23일 안산 시화공단을 방문했고,이어 26일엔 성서공단,30일엔 오창산업단지를 찾았다.

앞으로도 서울 구로공단,경기도 테크노파크,강원도 중소기업공단 등 전국 산업단지를 꾸준히 찾아다닐 예정이다.

서울시장 퇴임 후 구미,대구,부산,안산,창원,울산 등 국가산업단지들을 돌아다니며 '산업비전탐사'를 해 온 이 전 시장은 지난 18일 경남 거제의 대우조선을 둘러본 데 이어 19일에는 사천 한국항공우주산업을 방문했고 30일엔 박 전 대표와 같이 충청지역으로 내려가 아산의 삼성전자 탕정LCD단지를 찾았다.

손 전 지사도 인천 남동공단,대불공단 등을 착실히 돌아다니며 민생대장정을 계속하고 있다.

김인식 기자 sskis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