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글로벌 경영 비전' 수립을 위한 독한 행보에 나섰다.

'철새론(둥지를 지키는 텃새보다 대륙을 횡단하며 먹이를 찾아 나서는 철새의 생존 본능을 배워야 한다는 것)' 등을 설파하며 글로벌 경영을 그룹의 좌표로 제시한 김 회장이 첫 해외 전략회의를 주재하며 임직원들을 독려했다.

김 회장은 지난 30일부터 이틀간 태국 방콕에서 열린 '해외 사업 진출 전략회의'에서 계열사 사장단 및 주요 임원 50여명과 '해외 사업 진출'만을 주제로 15시간 동안 마라톤 회의를 열었다.

30일 오후 2시부터 다음 날 새벽 5시까지 계속된 전략회의에서 김 회장과 임원들은 도시락과 야참을 먹어가며 격론을 벌였다.

이번 전략회의는 글로벌 경영의 해법을 찾기 위해 일본과 동남아 지역을 순방 중인 김 회장이 작심하고 마련한 자리라는 게 그룹 관계자의 전언이다.

한화는 이번 전략회의를 통해 현재 10%에 그치고 있는 해외 사업 매출을 2011년까지 40%로 늘리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를 위해 경영기획실 내에 글로벌 경영 현황과 평가를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신설,계열사별로 진출 가능한 해외 사업에 대한 종합 검토 작업을 벌이기로 했다.

김 회장은 이와 함께 △그룹 전략 및 계열사 전략 업그레이드 △해외 사업 추진 프로세스 재구축 △해외 조직 관리체계 재정비 △해외 사업 추진을 위한 인력 확보 △해외 사업 활성화를 위한 목표관리체제 구축 △그룹의 해외 사업 전략 컨트롤타워 구축 등을 담은 '해외사업 6대 실행테마'도 확정했다.

한화는 지난해 말부터 동유럽 중앙아시아 중동 동남아시아 등 4개 권역별로 조사반을 파견,진출 가능한 사업 및 타당성을 검토해 왔다.

한화석유화학 한화무역 한화건설 대한생명 등 10개 계열사는 이를 토대로 단독 또는 컨소시엄으로 사업화 가능성을 점검할 계획이다.

한화그룹 관계자는 "김 회장의 뜻에 따라 계열사 CEO(최고경영자)들이 글로벌 경영을 피부로 체험하기 위해 처음으로 해외 전략회의를 갖게 됐다"며 "이번 회의는 한화의 글로벌 경영 '발대식'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