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축용 장기임대주택은 올해 김포(양촌)신도시와 고양 삼송,남양주 별내,수원 호매실 등 수도권 국민임대주택단지 3곳 등에서 4000가구,지방 1곳(미정)에서 1000가구 등 총 5000가구가 올해 첫 공급된다.

특히 2009년 9월부터 4만9000가구의 분양이 시작되는 송파신도시의 경우 50% 이상이 비축용 장기임대주택으로 공급될 전망이다.

또 오는 6월께 발표될 강남 수요를 대체할 분당급 신도시의 물량도 최소 20% 이상이 비축용으로 분류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서울시 산하 SH공사가 공급하는 임대주택도 비축용으로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내년에 입주할 예정인 우면 세곡 상암2 등 국민임대주택단지가 그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방에서 미분양되는 아파트를 매입해 비축용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다.

하지만 올해 비축용 장기임대주택 5000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은 기존 임대주택 공급예정물량을 돌려놓은 것이어서 정부가 사실상 '눈가리고 아웅'하는 식으로 발표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비축용 장기임대주택을 추가로 공급한다고 했지만,고양 삼송 등 3개 택지지구의 전체 공급 물량은 종전과 똑같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는 "택지지구에서 민간이 사업을 꺼리는 민간임대주택 용지를 펀드용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신규 택지에서 매년 5만가구 정도가 비축용 장기임대주택으로 공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가 임대주택 확대 명분에 휘말려 신도시 등 택지지구의 분양주택을 대폭 줄여 비축용 임대주택으로 용도를 바꿀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일반분양 물량이 크게 줄어 임대주택이 아닌 내집을 마련하려는 실수요자들의 반발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