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개성공단 근로자들에게도 이르면 올해부터 성과급(인센티브)제가 도입된다.

공단 내 북측 근로자들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장경제적 경쟁 체제를 접목하는 것으로,북한이 또 하나의 자본주의 실험에 나서는 것이다.

4일 통일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개성공단을 관할하는 남측 개성공단관리위원회와 북측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관계자들은 조만간 만나 생산성 인센티브제 도입을 본격적으로 협의할 예정이다.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실무 관계자는 "협의 날짜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른 시간 내에 만날 것"이라며 "최근 북측이 개성공단에서 사회적 평등주의 타성(공동 생산,공동 분배)을 깨뜨리자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어 인센티브제 도입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는 "개성공단 진출 기업들이 분기별이나 반기별로 조별·반별 생산 실적을 평가해 현물이나 현금 보너스를 북측 근로자들에게 지급하는 방식 등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개성공단관리위원회와 남측 기업들은 2004년 12월 개성공단을 가동한 이후 북측에 지속적으로 인센티브제 도입을 요구했으나 북측은 민감하게 반응하며 거부감을 보여왔다.

하지만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한 달 동안 남측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등 태도 변화를 보이며 인센티브제 도입에 대한 긍정적이고 종합적인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관리위원회 실무 관계자는 또 "이번 협의에서 인센티브제와 함께 남측 기업들이 임금을 북측 근로자들에게 직접 지불하는 임금직불제를 도입하는 방안을 다시 요구해 관철시킬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임금직불제는 성과급제와 연계해 임금 지급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남측에서 꾸준히 제기한 사안이다.

도입되면 개성공단 임금을 북한 정부가 핵 등 무기 개발용 자금으로 전용하고 있다는 미국 측의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제도이기도 하다.

개성공단은 현재 신원 로만손 삼덕통상을 비롯해 의류,시계,신발 업종 등의 39개 중소업체가 입주·분양받아 이 중 21개 업체가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북측 근로자 수는 총 1만명을 돌파했다.

북측이 이번에 성과급제와 임금직불제라는 자본주의적 제도를 개성공단에 추가하면 생산성 향상,투명성 확보,남측 기업 진출 확대 등 경제특구로서의 위상과 이점을 보다 명확히 증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홍열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