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단한' 대학원생 … 서울대 박사과정 김수민씨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울대 박사과정 학생이 한 해 동안 과학기술논문색인(SCI)에 등재된 국제 학술지에 15편의 논문을 게재해 눈길을 끌고 있다.
서울대 농생대 산림과학부에서 환경재료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수민씨(32)는 지난해 SCI급 학술지에 논문 15편(제1저자 논문 10편)을 게재한 데 이어 현재 7편의 추가 게재가 확정된 상태다.
서울대 이공계 교수의 1인당 연간 SCI급 논문 게재(2005년 기준) 수는 3.47편이다.
김씨의 논문 주제는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에서부터 실내 공기 오염 저감을 위한 건축 내장재의 접착 특성,친환경 건축용 접착제 및 바이오 복합재료 개발 등 다양하다.
논문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는 피인용지수(IF;Impact Factor)도 대부분 1점대 중반으로 관련 분야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양질의 SCI급 논문을 쏟아낼 수 있었던 비결로 김씨는 풍부한 현장 경험과 지도교수인 김현중 학부장의 적극적인 조언을 꼽았다.
특히 2001년 서울대 임산공학과(환경재료학과 전신) 석사과정 입학 당시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아버지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포기하고 관련 업계로 뛰어든 게 전화위복이 됐다.
현장에서 느낀 다양한 아이디어가 논문의 밑거름이 됐기 때문이다.
김씨는 2003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다시 책을 잡아 오는 14일 박사 과정 수료를 앞두고 있으며,미국 미시간주립대 '박사 후 과정'(Post Doctor)에서 새집증후군 저감 내장재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
서울대 농생대 산림과학부에서 환경재료학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수민씨(32)는 지난해 SCI급 학술지에 논문 15편(제1저자 논문 10편)을 게재한 데 이어 현재 7편의 추가 게재가 확정된 상태다.
서울대 이공계 교수의 1인당 연간 SCI급 논문 게재(2005년 기준) 수는 3.47편이다.
김씨의 논문 주제는 새집증후군을 일으키는 물질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에서부터 실내 공기 오염 저감을 위한 건축 내장재의 접착 특성,친환경 건축용 접착제 및 바이오 복합재료 개발 등 다양하다.
논문의 질적 수준을 가늠하는 피인용지수(IF;Impact Factor)도 대부분 1점대 중반으로 관련 분야에서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처럼 양질의 SCI급 논문을 쏟아낼 수 있었던 비결로 김씨는 풍부한 현장 경험과 지도교수인 김현중 학부장의 적극적인 조언을 꼽았다.
특히 2001년 서울대 임산공학과(환경재료학과 전신) 석사과정 입학 당시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아버지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포기하고 관련 업계로 뛰어든 게 전화위복이 됐다.
현장에서 느낀 다양한 아이디어가 논문의 밑거름이 됐기 때문이다.
김씨는 2003년 아버지가 돌아가신 뒤 다시 책을 잡아 오는 14일 박사 과정 수료를 앞두고 있으며,미국 미시간주립대 '박사 후 과정'(Post Doctor)에서 새집증후군 저감 내장재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