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세 사회보험료 지급이자 등으로 구성된 비소비지출이 지난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소득증가폭이 전년에 비해 커졌지만 가처분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비소비지출이 민간소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는 셈이다.


◆비소비지출 증가율 급증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6년 4분기 및 연간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6만8900원으로 2005년보다 5.1% 늘어났다.

그러나 비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해 소득증가 효과를 상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비소비지출은 39만6600원으로 전년에 비해 10.2% 증가했다.

이 같은 증가율은 2005년의 5.8%의 2배 수준이다.

특히 종합부동산세 등의 증가에 따른 조세증가율이 14.1%를 기록,전년(3.3%)에 비해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소비지출은 △조세 △공적연금 △사회보험 △기타 등으로 구성된다.

전체 비소비지출 가운데 11.9%를 차지하고 있는 기타에는 지급이자가 포함돼 있다.

기타 비소비지출 역시 2.9% 늘어나 주택담보대출 등에 따른 이자 부담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시근로자 가구만 떼어내 살펴봐도 사정은 비슷하다.

월평균 소득이 5.9% 증가해 344만3400원에 달했지만 비소비지출은 증가율이 2배에 육박한 11.4%를 기록했다.

도시근로자의 월평균 비소비지출액은 46만4700원이었다.


◆소득증가 좇지 못하는 소비

비소비지출이 작년보다 10% 넘게 증가하는 동안 소비지출 증가율은 4.2%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소득증가율 대비 1.0%포인트 정도 낮은 수준이어서 "소비가 소득수준의 증가속도를 좇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국 가구를 기준으로 소비지출은 4.2% 늘어난 212만100원을 기록했다.

평균 소비성향도 갈수록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에 평균 소비성향은 79.3%로 전년의 79.5%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도시근로자 가구는 75.0%에서 74.5%로 줄어 감소폭이 전체 가구보다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외식비용 등 먹는 데 쓰는 비용을 크게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2005년 4분기에 6.8%였던 전국 가구의 외식비용 증가율은 작년 1분기에 2.6%로 떨어진 뒤 분기별로 △2분기 2.1% △3분기 -0.1% △4분기 -0.3% 등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하강곡선을 그리고 있다.


◆'빚더미'에 눌린 저소득층

소득기준으로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 계층의 경우 작년 한햇동안 35만7100원의 적자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

가처분소득보다 소비지출이 더 많았다는 얘기다.

반면 상위 20%에 해당하는 5분위 계층의 흑자규모는 191만8500원이었다.

상위 20%의 소득수준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소득 5분위 배율은 7.64배로 전년(7.56배)보다 늘어나면서 소득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5분위 배율은 참여정부가 들어선 2003년 7.23배에서 2004년 7.35배,2005년 7.56배로 높아지는 등 갈수록 소득격차가 커지는 추세다.

송종현 기자 scre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