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담이 예상되는 2013년부터 5년간 최대 2조원가량의 저감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LG경제연구원은 8일 '발등의 불,온실가스 규제' 보고서에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가 도입되지 않는 경우 한국이 저감비용으로 부담해야 할 비용은 2013~2017년 5년간 연간 2512억~4234억원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추정했다.

즉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을 지게 되는 첫 5년간 총 1조2000억원에서 2조원가량의 부담을 지게 되는 것이다.

연구원은 탄소세 도입으로 온실가스 감축분의 50%를 줄일 경우 2512억원의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탄소세는 액화천연가스(LNG) 중유 등 에너지원에 대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비례해 매기는 세금이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한 교토협약이 발효된 지 2년째가 되는 가운데 최근 온실가스 규제가 더욱 강화될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연구원은 "온실가스 피해가 급증하면서 감축에 반대해온 미국도 입장이 변화할 조짐이 보이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교토조약이 미국에 유리한 방향으로 수정될 가능성이 있어 한국에 불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