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1.08명으로 사상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던 합계출산율(여성 한 명이 15~49세 가임 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지난해 1.10명으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은 8일 취임 1주년을 맞아 가진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행정자치부의 잠정 추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산아 수가 2005년(43만8000명)보다 8300명 정도 늘어 합계출산율이 1.08명에서 1.10명으로 0.02명 올랐다"고 말했다.

합계출산율이 오르기는 2003년 이후 3년 만이고,출생아 수 감소세가 반전되기는 2000년 이후 6년 만이다.

유 장관은 그 이유에 대해 "정부가 지난해부터 출산 장려 정책을 열심히 펴서인지,사회적인 분위기 때문인지는 아직 분명하게 설명할 수 없지만 더 열심히 (저출산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의 경우 저출산 대책에 국비와 지방비를 포함해 총 3조40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 같은 지원 규모는 지난해보다 41% 늘어난 것이다.

저출산 대책사업엔 △미취학 아동에 대한 보육료·교육비 지원 △출산휴가 지원 예산 △방과후 학교 지원사업 예산 △지역아동·청소년보호 예산 등이 포함돼 있다.

유 장관은 또 의료법 개정에 반발해 의사들이 집단행동을 하고 있는 데 대해 "아직 입법 과정에서 논의할 수 있는 절차가 얼마든지 있는데 휴진 등 집단행동에 들어가는 것은 지나치다"며 "(의사들이) 어른답게,배운 분들답게 처신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금 (의료법) 개정을 시작해도 17대 국회 중 끝나지 않을 수도 있다"면서 "다소간의 어려움이 있더라도 지금 의료법 개정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수진 기자 notwom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