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하노이무역관 박근형 차장 [앵커] 요즘 기업인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거론되는 나라들 중 하나가 베트남이 아닌가 싶습니다. 특히 지난해 WTO 가입으로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베트남은 우리 기업들뿐만 아니라 외국 기업들의 주요한 투자처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베트남의 최근 외국인 투자유치 동향에 대해서 KOTRA 하노이무역관의 박근형 차장과 말씀을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앵커] 베트남이 중국의 대체 투자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최근 베트남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말씀해 주십시오. [무역관] 지난해인 2006년 대 베트남 외국인직접투자는 2005년의 40억불 에 비해 95% 증가한 78억불에 이르러 1996년에 이어 사상 두 번째의 투자유치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기존 투자기업들로부터의 증액투자도 26억불에 이르러 총 104억불의 투자유치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의 실적을 올렸습니다. 국가별로는 우리나라가 지난 한 해 동안 26.8억불을 투자하여 대 베트남 최대 투자국이 되었으며, 홍콩이 11.4억불, 일본이 9.9억불, 미국이 7.7억불 등으로 베트남에 대한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습니다.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가 대 베트남 최대 투자국이 되었다면 최근 한국에서의 베트남 붐이 실제 우리 기업들의 현지 진출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인데, 우리 기업들의 투자 동향은 어떻습니까? [무역관] 조금 전 말씀드린바와 같이 우리나라는 지난 해 26.8억불 투자로 2006년도 베트남 최대 투자국이 되었습니다. 홍콩을 통해 투자된 금호타이어의 1.6억불까지 포함시킨다면 우리나라의 실질 투자액은 28.4억불로 대 베트남 외국인투자 전체의 1/3 이상을 넘어섭니다. 투자는 중공업 및 신도시, 아파트 등의 건설 분야에 집중되었으며, 예년과 달리 대기업 위주의 대형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1억불 이상의 대형 프로젝트로는 포스코의 제철소 건설 11억불, 대우금호건설 등 콘소시움의 하노이지역 신도시 개발 3억1천만불, 두산중공업의 철구조물 공장건설 2억6천만불, 부영의 아파트건설 1억 7천만불 등이며 이들 1억불 이상 투자 프로젝트가 우리 기업들 전체 투자액의 약 70% 정도를 차지하였습니다. 이 밖에 부동산과 주식시장에 투자를 하기 위한 펀드도 이미 5천억원 규모 정도 들어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앵커] 향후 베트남으로의 외국인 투자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까요?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계속 장밋빛인가요? [무역관] 베트남으로의 외국인 투자는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우선, 지난해 WTO 가입에 따른 국제경제체제 편입으로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으며 시장개방도 확대되어 전반적인 비즈니스 환경이 개선되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로는 차이나리스크 경감을 위한 베트남으로의 투자지 전환이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중국에서의 외국인기업의 경영환경 악화로 현지 공장을 이전하려는 수요까지 증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우리기업들의 측면으로 보면, 한국-아세안 FTA라는 변수도 있습니다. 베트남은 아세안연합의 회원국으로 한-아세안 FTA가 발효되면 한국과 베트남간의 수입 관세가 인하됩니다. 특히 한국의 수입 관세가 무관세로 낮아지는 품목들이 많아지기 때문에 베트남에서 생산하여 한국으로 납품하는게 한국 현지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호조건들이 우리 기업들의 베트남으로의 이전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앵커] 아무리 좋은 여건이라도 위험성은 있기 마련일텐데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는데 조심해야 될 부분이 있다면 어떤 것인지 말씀해 주십시오. [무역관] 맹목적인 투자는 항상 위험합니다. 특히 베트남 내수시장을 보고 들어오는 기업들은 철저한 사전 시장 조사가 필요합니다. 베트남 내수시장은 아직까지 구매력이 약한 상태라 가격 위주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주변의 아세안 국가들과 중국 등에서 값싼 상품들이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베트남 기업과 합작투자 형태로 진출하는 경우에는 베트남측 파트너 선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지분은 75% 이상은 확보하는 게 유리합니다. 정관 개정, 조직 개편, 투자 등의 주요 사업계획, 청산 등과 같은 주요 의사 결정은 75%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기진선기자 qmfforl@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