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는 추가 난개발을 막기 위해 주택건설사업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극약처방을 내놓고 있다.

도로·공원·학교·편의시설 등의 확충 계획 없이 집만 많이 들어서다 보니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서정석 용인시장은 최근 "난개발을 치유하기 위해 앞으로 관련법과 규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용인지역 아파트 건설사업을 최대한 억제할 방침"이라며 "특히 1990년대 마구잡이식 개발의 후유증을 아직도 겪고 있는 수지 등 서·북부지역에서는 사업을 최대한 막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성복동에서 올해 5000여가구 분양을 추진 중인 일레븐건설 CJ나인개발 등의 민간 개발사업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용인시는 또 교통난 해소를 위해 올해 총 예산의 29% 수준인 3419억원을 쏟아부을 계획이다.

여기에는 용인시내 도시계획도로 20건(1064억원),분당선 연장 광역전철 분담금(110억원),신갈~수지 간 도로 확·포장공사(68억원) 등의 교통대책이 포함돼 있다.

용인시는 이와 함께 '2020 용인 도시기본계획' 승인이 완료되는 대로 지역 도시계획을 재정비해 추후 발생할 수 있는 난개발을 막겠다는 복안이다.

2010년까지는 도시계획의 큰 밑그림을 완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용인시 관계자는 "용인지역의 난개발을 더 이상 두고볼 수 없다는 판단 아래 도로확충과 함께 호수공원·체육공원·자연하천 등을 적극 조성,녹지공간을 최대한 확대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