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6자회담 타결] 남북정상회담 추진 탄력받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자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가 의미있는 진전을 보임에 따라 정부의 남북 정상회담 추진 문제가 최대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북핵 해법 마련이 그동안 정부가 내건 정상회담의 충분조건이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단 남북 정상회담을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유럽 방문을 수행 중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13일(한국시간) "6자회담과 북한 핵 폐기의 진전이 남북 정상회담을 갖기 위한 여러 가지 조건 중의 하나를 충족시키지만 충분조건을 만든다고 보기에는 빠르다고 본다"며 일단 유보적인 판단을 내렸다.
그러나 북핵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한 만큼 남북 정상회담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어떤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순차로 할 수 있는 일이 있는데,6자회담과 남북 정상회담은 순차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현 정권은 출범 초기에 획기적인 남북관계 복원을 시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5일 "현 정권이 시작됐을 때 남북 정상회담이 일단 합의돼 가던 시기가 있었고 얘기가 거의 다 됐다가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윤승용 청와대 대변인은 "정상회담을 위한 것이 아니었으나 남북간 대화채널·핫라인 등을 열기 위한 특사 논의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정부가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은 높다.
정형근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최근 "정부 일각에서 오는 8월15일 서울에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무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상회담 뒤 9월 중 한국과 북한,중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2+2' 4자회담을 개최해 종전 선언과 함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는 구체적 목표를 세우고 북한 측과 실무협상을 추진 중"이라는 시나리오까지 제기했다.
한나라당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만큼 추진 시기와 방식 여하에 따라 대선전의 최대 쟁점으로 급부상할 개연성도 다분하다.
김홍열·마드리드=이심기 기자 comeon@hankyung.com
북핵 해법 마련이 그동안 정부가 내건 정상회담의 충분조건이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일단 남북 정상회담을 속단하기에는 이르다는 입장이다.
노무현 대통령의 유럽 방문을 수행 중인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13일(한국시간) "6자회담과 북한 핵 폐기의 진전이 남북 정상회담을 갖기 위한 여러 가지 조건 중의 하나를 충족시키지만 충분조건을 만든다고 보기에는 빠르다고 본다"며 일단 유보적인 판단을 내렸다.
그러나 북핵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한 만큼 남북 정상회담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어떤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일이 있고 순차로 할 수 있는 일이 있는데,6자회담과 남북 정상회담은 순차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기 때문이다.
현 정권은 출범 초기에 획기적인 남북관계 복원을 시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지난 5일 "현 정권이 시작됐을 때 남북 정상회담이 일단 합의돼 가던 시기가 있었고 얘기가 거의 다 됐다가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윤승용 청와대 대변인은 "정상회담을 위한 것이 아니었으나 남북간 대화채널·핫라인 등을 열기 위한 특사 논의가 있었다"고 시인했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정부가 정상회담을 추진할 가능성은 높다.
정형근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최근 "정부 일각에서 오는 8월15일 서울에서 남북 정상회담 개최를 목표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무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상회담 뒤 9월 중 한국과 북한,중국과 미국이 참여하는 '2+2' 4자회담을 개최해 종전 선언과 함께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는 구체적 목표를 세우고 북한 측과 실무협상을 추진 중"이라는 시나리오까지 제기했다.
한나라당이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만큼 추진 시기와 방식 여하에 따라 대선전의 최대 쟁점으로 급부상할 개연성도 다분하다.
김홍열·마드리드=이심기 기자 come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