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위험 피해 조선수주 원화로…삼성重, 업계 최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삼성중공업이 국내 업계 최초로 선박 건조 대금을 원화로 받는 계약을 맺었다.
국내 조선회사들은 그동안 해외는 물론 국내 선주사로부터도 배를 만들어주는 대금을 달러로만 받아왔다.
삼성중공업은 노르웨이 선사로부터 북해 혹한 지역에 투입되는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한 척을 4억달러에 수주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이 가운데 수입기자재 대금으로 나중에 다시 달러로 지불할 금액과 국내에서 조달하는 강재 페인트 인건비 등 원화로 지출하는 금액의 비중을 감안해 선박 가격의 42%에 해당하는 1억6000만달러는 달러화로,나머지 58%인 2220억원은 원화로 각각 받는 '다중 통화 계약 방식'을 도입했다.
삼성중공업이 원화로 선박 대금을 받는 것은 환 위험을 차단하려는 조선사들의 전략과 방법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조선업은 전형적인 수주 산업이다.
현재 시점에서 확정된 가격으로 선박을 수주한 뒤 통상 2~3년의 건조 과정을 거쳐 선주에게 인도한다.
조선사들은 이 과정에서 4~5차례에 걸쳐 대금을 나눠 받는다.
문제는 수주 시점과 대금 수취 시점에 환율이 변하면 조선사들이 받는 원화 금액도 변한다는 점이다.
수주 이후 원화가 큰 폭의 강세(달러 대비 원화 환율 급락)를 보일 경우 조선사들은 자칫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수년 전부터 국내 조선사들은 수주 시점에 아예 달러 선물환 매도 등 환헤지를 해서 달러 수주액을 원화로 확정시키는 전략을 써왔다.
하지만 이번 삼성중공업 사례처럼 조선사가 원화로 선박 대금을 받으면 이 같은 문제는 해소된다.
환헤지 등 별도 절차가 없어도 수주 시점에 수익을 확정할 수 있는 데다 외환시장의 충격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
국내 조선회사들은 그동안 해외는 물론 국내 선주사로부터도 배를 만들어주는 대금을 달러로만 받아왔다.
삼성중공업은 노르웨이 선사로부터 북해 혹한 지역에 투입되는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 한 척을 4억달러에 수주했다고 14일 밝혔다.
삼성중공업은 이 가운데 수입기자재 대금으로 나중에 다시 달러로 지불할 금액과 국내에서 조달하는 강재 페인트 인건비 등 원화로 지출하는 금액의 비중을 감안해 선박 가격의 42%에 해당하는 1억6000만달러는 달러화로,나머지 58%인 2220억원은 원화로 각각 받는 '다중 통화 계약 방식'을 도입했다.
삼성중공업이 원화로 선박 대금을 받는 것은 환 위험을 차단하려는 조선사들의 전략과 방법이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조선업은 전형적인 수주 산업이다.
현재 시점에서 확정된 가격으로 선박을 수주한 뒤 통상 2~3년의 건조 과정을 거쳐 선주에게 인도한다.
조선사들은 이 과정에서 4~5차례에 걸쳐 대금을 나눠 받는다.
문제는 수주 시점과 대금 수취 시점에 환율이 변하면 조선사들이 받는 원화 금액도 변한다는 점이다.
수주 이후 원화가 큰 폭의 강세(달러 대비 원화 환율 급락)를 보일 경우 조선사들은 자칫 손해를 볼 가능성도 있다.
이 때문에 수년 전부터 국내 조선사들은 수주 시점에 아예 달러 선물환 매도 등 환헤지를 해서 달러 수주액을 원화로 확정시키는 전략을 써왔다.
하지만 이번 삼성중공업 사례처럼 조선사가 원화로 선박 대금을 받으면 이 같은 문제는 해소된다.
환헤지 등 별도 절차가 없어도 수주 시점에 수익을 확정할 수 있는 데다 외환시장의 충격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열 기자 mustaf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