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과천청사에 근무하는 공무원 10명 중 8명은 행정중심복합도시로 청사가 이전하더라도 서울이나 수도권에 있는 집을 팔지 않을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과천청사 공무원 10명 가운데 6명은 청사 이전 시 혼자 또는 가족의 일부만 행정도시로 이사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건설교통부와 한국토지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4월24일부터 열흘간 과천청사 내 부처별로 비례 할당된 공무원 307명을 대상으로 '과천청사 이전 시 수도권 내 주택 처리 계획'을 설문조사한 결과 81.5%가 '주택 매각 의사가 없다'고 답변했다.

그리고 수도권에 주택을 보유한 과천청사 공무원의 39.4%는 과천청사 이전 후에도 '주택을 계속 보유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전·월세로 임대할 것'이라는 의견도 21.2%에 달했다.

반면 '매각할 것'이라는 응답은 18.5%에 그쳐 5명 중 1명만이 집을 팔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밖에 '자녀가 사용할 것'이라는 대답은 0.7%로 미미했고 '모르겠다'는 응답이 20.2%로 나타났다.

지방 이주 계획과 관련해서는 '본인만 이사할 것'이라는 비율이 41.7%,가족 중 일부만 이사할 것'이라는 답이 17.6%로 과천청사 공무원 10명 중 6명은 본인 또는 가족 일부만 이사할 계획인 것으로 파악됐다.

반면 '가족 전체가 함께 이사할 것'이라는 답변은 39.7%였다.

이번 조사 대상 공무원의 10.1%는 과천시에 거주하고 있었으며 경기(과천시 제외) 거주 공무원이 50.5%,서울 거주 공무원은 36.2%였다.

이와 관련,건교부는 "공무원들이 가족과 함께 거주지를 이전해 현지에 정착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합동으로 각종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이전 대상 정부부처 및 기관은 12부4처2청이며 이 가운데 과천청사에서는 2012년부터 3년간 20개 기관에서 5000~6000명(2006년 기준)의 공무원이 이동하게 된다.

이정선 기자 sun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