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고향 '기업도시·혁신도시' 어떻게 … 혁신도시 보상금만 4조3569억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은 지금 '리모델링' 공사가 한창이다.
충남 연기·공주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진행 중인 것을 비롯 수도권 밖 주요 지역에서 6개 기업도시와 10개 혁신도시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면서 속속 구체화되고 있어서다.
행정도시가 올 7월 첫 삽을 뜨는 것을 시작으로,태안기업도시와 대구·울산 혁신도시도 9월부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하반기에는 전국이 개발 열기에 휩싸일 전망이다.
이에 앞서 5월부터는 혁신도시 건설을 위해 모두 4조3000여억원의 토지보상금이 순차적으로 풀리게 돼 해당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교통부는 오는 4월까지 10개 혁신도시 지구지정을 마치고 5월부터 토지보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어 9월 대구와 울산을 시작으로 연말까지는 전 지역에서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혁신도시는 부산 대구 울산 원주(강원) 진천·음성(충북) 김천(경북) 진주(경남) 나주(광주·전남) 전주(전북) 서귀포(제주) 등이다.
5월부터 시작되는 보상 규모는 △대구 1조200억원 △전주 8358억원 △나주 6390억원 △원주 4193억원 △울산 3800억원 △진천·음성 3527억원 △김천 3200억원 △진주 2761억원 △제주 1140억원 등 총 4조3569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은 사업부지에 이미 개발된 지역이 포함돼 있는 데다 군수사부지 등이 위치하고 있어 아직 보상비가 책정되지 않았다.
혁신도시 건설을 위한 법적 준비 절차는 끝난 상태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달 1일 제정,공포됐으며 지난 12일에는 혁신도시특별법 시행령이 마련됐다.
◆테마도시로 개발
혁신도시는 해당지역의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거점도시로 개발된다.
정부는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지역전략 산업을 연계하고,여기에 각 지역의 다양한 환경·문화적 특성을 접목해 개성 있는 테마도시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부산은 동북아시대 해양수도로 남부 경제권의 중추도시이자 세계 자유무역 거점도시로 육성된다.
대구는 지식 창조에 중점을 둔 두뇌도시(Brain City),울산은 경관 중심의 에너지 절약형 도시로 각각 조성된다.
원주는 건강·생명·관광을 테마로 하는 '비타민도시'로 꾸며진다.
진천·음성은 오창 및 오송단지와 연계한 지역산업 네트워크의 '교육·문화 이노밸리'를 표방하고 있다.
전주는 농업 생명의 허브이자 전원도시로,나주는 신재생에너지와 농업·생물산업이 중심이 되는 생명의 도시로 각각 조성된다.
또 김천은 농업관련 벤처도시,진주는 기업지원 거점도시이자 녹색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서귀포는 연수·휴양·관광도시의 장점을 살린 국제교류 거점도시로 개발된다.
◆토공·주공 2010년까지 이전
그동안 혁신도시가 들어설 위치를 놓고 해당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이 끊이지 않았으나,현재는 위치는 물론 구체적인 부지 면적까지 확정된 상태다.
혁신도시에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18조)에 따라 토지공사 주택공사 도로공사 한국전력 가스공사 관광공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관리공단 등 모두 175개 공공기관이 이전해 새 살림을 차리게 된다.
연기·공주지역에 들어서는 행정복합도시로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과 그 소속 기관은 이전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전하는 공공기관 가운데 혁신도시 사업시행자인 토공과 주공은 선도기관으로 가장 이른 2010년까지 전주와 진주로 각각 본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나머지 기관도 2012년까지 이전을 마칠 계획이다.
하지만 일부 기관의 경우 노조를 중심으로 이전을 반대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이전 기관마다 "부지 더 달라"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은 혁신도시 내 부지를 한 평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다른 기관 및 해당 지자체와 치열하게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전체 부지가 209만평으로 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진천·음성군의 경우 법무연수원이 현재 사용하는 30만평을 이전부지로 달라고 요청하고 있고,나주(221만평)로 옮기는 한국전력도 신규 사업용지를 포함해 총 20만평을 요구해 해당 지자체와 갈등을 빚고 있다.
이에 대해 건교부 공공기관 지방이전추진단은 부지배분 기준을 새로 마련했다.
업무용 빌딩은 상주근무 인원 1인당 17.1평을,기숙사 문화회관 등 부속 건물은 현재보다 최대 2배까지,운동장은 현 면적 만큼 제공한다는 원칙으로 중재에 나서고 있다.
권병조 추진단 기획국장은 "10개 혁신도시를 연내에 착공하기 위해 사업에 적극적인 지자체에는 SOC(사회간접자본)를 비롯한 기반시설을 조기 지원하는 등 범정부 차원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
충남 연기·공주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이 진행 중인 것을 비롯 수도권 밖 주요 지역에서 6개 기업도시와 10개 혁신도시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면서 속속 구체화되고 있어서다.
행정도시가 올 7월 첫 삽을 뜨는 것을 시작으로,태안기업도시와 대구·울산 혁신도시도 9월부터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하반기에는 전국이 개발 열기에 휩싸일 전망이다.
이에 앞서 5월부터는 혁신도시 건설을 위해 모두 4조3000여억원의 토지보상금이 순차적으로 풀리게 돼 해당지역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교통부는 오는 4월까지 10개 혁신도시 지구지정을 마치고 5월부터 토지보상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어 9월 대구와 울산을 시작으로 연말까지는 전 지역에서 착공에 들어간다는 방침이다.
혁신도시는 부산 대구 울산 원주(강원) 진천·음성(충북) 김천(경북) 진주(경남) 나주(광주·전남) 전주(전북) 서귀포(제주) 등이다.
5월부터 시작되는 보상 규모는 △대구 1조200억원 △전주 8358억원 △나주 6390억원 △원주 4193억원 △울산 3800억원 △진천·음성 3527억원 △김천 3200억원 △진주 2761억원 △제주 1140억원 등 총 4조3569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은 사업부지에 이미 개발된 지역이 포함돼 있는 데다 군수사부지 등이 위치하고 있어 아직 보상비가 책정되지 않았다.
혁신도시 건설을 위한 법적 준비 절차는 끝난 상태다.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혁신도시 건설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달 1일 제정,공포됐으며 지난 12일에는 혁신도시특별법 시행령이 마련됐다.
◆테마도시로 개발
혁신도시는 해당지역의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할 거점도시로 개발된다.
정부는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과 지역전략 산업을 연계하고,여기에 각 지역의 다양한 환경·문화적 특성을 접목해 개성 있는 테마도시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부산은 동북아시대 해양수도로 남부 경제권의 중추도시이자 세계 자유무역 거점도시로 육성된다.
대구는 지식 창조에 중점을 둔 두뇌도시(Brain City),울산은 경관 중심의 에너지 절약형 도시로 각각 조성된다.
원주는 건강·생명·관광을 테마로 하는 '비타민도시'로 꾸며진다.
진천·음성은 오창 및 오송단지와 연계한 지역산업 네트워크의 '교육·문화 이노밸리'를 표방하고 있다.
전주는 농업 생명의 허브이자 전원도시로,나주는 신재생에너지와 농업·생물산업이 중심이 되는 생명의 도시로 각각 조성된다.
또 김천은 농업관련 벤처도시,진주는 기업지원 거점도시이자 녹색도시로 거듭나게 된다.
서귀포는 연수·휴양·관광도시의 장점을 살린 국제교류 거점도시로 개발된다.
◆토공·주공 2010년까지 이전
그동안 혁신도시가 들어설 위치를 놓고 해당 지방자치단체 간 분쟁이 끊이지 않았으나,현재는 위치는 물론 구체적인 부지 면적까지 확정된 상태다.
혁신도시에는 국가균형발전특별법(제18조)에 따라 토지공사 주택공사 도로공사 한국전력 가스공사 관광공사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연금관리공단 등 모두 175개 공공기관이 이전해 새 살림을 차리게 된다.
연기·공주지역에 들어서는 행정복합도시로 이전하는 중앙행정기관과 그 소속 기관은 이전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전하는 공공기관 가운데 혁신도시 사업시행자인 토공과 주공은 선도기관으로 가장 이른 2010년까지 전주와 진주로 각각 본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나머지 기관도 2012년까지 이전을 마칠 계획이다.
하지만 일부 기관의 경우 노조를 중심으로 이전을 반대하고 있어 난항이 예상된다.
◆이전 기관마다 "부지 더 달라"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은 혁신도시 내 부지를 한 평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다른 기관 및 해당 지자체와 치열하게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전체 부지가 209만평으로 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하는 진천·음성군의 경우 법무연수원이 현재 사용하는 30만평을 이전부지로 달라고 요청하고 있고,나주(221만평)로 옮기는 한국전력도 신규 사업용지를 포함해 총 20만평을 요구해 해당 지자체와 갈등을 빚고 있다.
이에 대해 건교부 공공기관 지방이전추진단은 부지배분 기준을 새로 마련했다.
업무용 빌딩은 상주근무 인원 1인당 17.1평을,기숙사 문화회관 등 부속 건물은 현재보다 최대 2배까지,운동장은 현 면적 만큼 제공한다는 원칙으로 중재에 나서고 있다.
권병조 추진단 기획국장은 "10개 혁신도시를 연내에 착공하기 위해 사업에 적극적인 지자체에는 SOC(사회간접자본)를 비롯한 기반시설을 조기 지원하는 등 범정부 차원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문권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