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국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현재로서는 특별한 조치들을 강구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백악관의 토니 스노 대변인은 15일 뉴스 브리핑에서 '미 자동차 업계의 어려움을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하지만 그는 자동차 메이커들에 큰 부담을 주는 의료·연금 비용에 대해선 "좀 더 수용 가능토록 하는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메이커들이 근로자 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도 바람직하다"며 "미 업계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경쟁력이 나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GM 포드 등 이른바 미국의 '자동차 빅3'는 강력한 구조조정을 단행하면서 정부 측에도 지원을 호소해 왔다.

GM의 릭 왜고너,다임러크라이슬러의 토머스 라소다,포드의 앨런 멀럴리 등 '빅3'의 최고 경영자들은 지난 연말 백악관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을 만나 한국 자동차 시장의 폐쇄성,엔화 저평가,고비용의 의료보험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이의 시정을 위해 부시 행정부가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미국 자동차 업계는 구조조정을 본격화하는 등 생존을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다임러크라이슬러와 제너럴모터스 포드는 지난해 15년 만에 처음으로 동반 적자를 기록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포드는 지난해 창사 이후 최대 규모인 127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이들 3사의 자동차 생산량도 지난해 전년 대비 5.7% 감소하면서 일본에 이은 2위 생산국으로 밀려났다.

이에 따라 미국 자동차 업계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감행하고 있다.

한편 미 자동차 산업의 '허브'인 미시간주 출신 민주당 소속 체비 스타베노 상원의원은 이날 수전 슈워브 무역대표를 출석시킨 가운데 열린 청문회에서 한국의 자동차시장 장벽을 깨도록 거듭 촉구하면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이 자동차 교역의 공정성을 높이는 내용을 포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