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낙하산用 자리 만들기' 비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우리금융그룹이 지주사 회장과 은행장 자리를 분할한 데 이어 이번엔 지주사에 부회장직과 상근감사직을 신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물론 정부와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압력에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회장 및 행장 인선과는 별도로 부회장 등 등기임원과 상근감사 자리를 겨냥한 인사들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3기 인사가 '낙하산 처리용'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정부와 예보는 이미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우리은행장직을 분리하면서 양자 간 갈등을 차단할 수 있는 대안은 전혀 마련하지 않아 향후 우리금융그룹의 경영은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비효율적으로 흐를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이달 말까지 우리금융 회장과 부회장 2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3~4명의 인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예보 관계자는 "우리금융 회장과 부회장 전무 등 등기이사를 몇 명으로 할 것인지를 조만간 결정할 계획"이라며 "부회장을 누구로 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에는 2004년 황영기 현 회장이 취임할 당시 부회장이 2명이 있었으나 민유성 전 부회장은 황 회장 취임 직후인 2004년 5월 사퇴했고 김종욱 전 부회장은 지난해 3월 우리금융 부회장직을 그만두고 우리투자증권 회장으로 자리를 옮겨 현재 우리금융에는 부회장이 한 사람도 없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등기이사(사외이사 제외)로는 황 회장과 예보 출신인 박승희 전무 등 2명만 남아 있다.
예보는 이에 대해 "황영기 회장이 친정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부회장들을 없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황 회장이 물러나면 기존 자리를 다시 채우겠다는 얘기인 셈이다.
예보의 이 같은 방침이 윤곽을 드러내자,우리금융 출범에 깊숙이 개입한 예보 이사 출신 인사 등 여러 인물들이 부회장 자리를 겨냥한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차기 우리금융 회장에 박병원 전 재경부 차관의 임명 가능성이 높아지고 예보가 부회장 자리를 확보하려든다는 얘기가 나오자 금융감독원까지 제 몫 찾기에 나섰다. 우리금융지주에 상근감사를 신설해야 한다는 것.상장회사인 만큼 당연히 상근감사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우리은행 경남은행 등 자회사에 이미 감사가 있어 지주사에까지 감사가 생기면 이중 감독을 받는 비효율이 불가피해진다.
이전에도 우리금융에 감사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우리금융의 내부 반발로 무산된 적이 있다.
우리금융 회장직과 우리은행장직이 분리됨에 따라 양자 간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지만 이를 보완할 장치가 전혀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 인선 작업이 동시에 진행돼 회장이 은행장 인선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금융 회장이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을 겸직토록 했지만 의장의 권한이 한계가 있는 데다 우리은행장도 이사회 멤버여서 1기 때와 같은 갈등의 불씨를 잠재우기에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회장에게 행장 인사권을 주지 않으면 행장과 계열사 임원을 평가할 수 있는 권한이라도 줘야 회장과 행장 간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물론 정부와 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의 압력에 따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회장 및 행장 인선과는 별도로 부회장 등 등기임원과 상근감사 자리를 겨냥한 인사들의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3기 인사가 '낙하산 처리용'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정부와 예보는 이미 우리금융지주 회장과 우리은행장직을 분리하면서 양자 간 갈등을 차단할 수 있는 대안은 전혀 마련하지 않아 향후 우리금융그룹의 경영은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비효율적으로 흐를 수밖에 없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9일 금융계에 따르면 예금보험공사는 이달 말까지 우리금융 회장과 부회장 2명을 포함한 등기이사 3~4명의 인선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예보 관계자는 "우리금융 회장과 부회장 전무 등 등기이사를 몇 명으로 할 것인지를 조만간 결정할 계획"이라며 "부회장을 누구로 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에는 2004년 황영기 현 회장이 취임할 당시 부회장이 2명이 있었으나 민유성 전 부회장은 황 회장 취임 직후인 2004년 5월 사퇴했고 김종욱 전 부회장은 지난해 3월 우리금융 부회장직을 그만두고 우리투자증권 회장으로 자리를 옮겨 현재 우리금융에는 부회장이 한 사람도 없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등기이사(사외이사 제외)로는 황 회장과 예보 출신인 박승희 전무 등 2명만 남아 있다.
예보는 이에 대해 "황영기 회장이 친정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부회장들을 없앤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황 회장이 물러나면 기존 자리를 다시 채우겠다는 얘기인 셈이다.
예보의 이 같은 방침이 윤곽을 드러내자,우리금융 출범에 깊숙이 개입한 예보 이사 출신 인사 등 여러 인물들이 부회장 자리를 겨냥한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차기 우리금융 회장에 박병원 전 재경부 차관의 임명 가능성이 높아지고 예보가 부회장 자리를 확보하려든다는 얘기가 나오자 금융감독원까지 제 몫 찾기에 나섰다. 우리금융지주에 상근감사를 신설해야 한다는 것.상장회사인 만큼 당연히 상근감사가 있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우리은행 경남은행 등 자회사에 이미 감사가 있어 지주사에까지 감사가 생기면 이중 감독을 받는 비효율이 불가피해진다.
이전에도 우리금융에 감사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있었지만 우리금융의 내부 반발로 무산된 적이 있다.
우리금융 회장직과 우리은행장직이 분리됨에 따라 양자 간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지만 이를 보완할 장치가 전혀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 인선 작업이 동시에 진행돼 회장이 은행장 인선에 전혀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금융 회장이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을 겸직토록 했지만 의장의 권한이 한계가 있는 데다 우리은행장도 이사회 멤버여서 1기 때와 같은 갈등의 불씨를 잠재우기에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우리은행 고위 관계자는 "우리금융 회장에게 행장 인사권을 주지 않으면 행장과 계열사 임원을 평가할 수 있는 권한이라도 줘야 회장과 행장 간 갈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