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까지는 남북통일이 이뤄질 공산이 매우 높으며(a high probability) 북한 핵문제의 최종적인 해결도 통일이 이뤄진 후에나 옛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 핵문제 해결 방식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16일 발표된 '신(新) 아미티지 보고서'가 전망했다.

이 보고서는 또 "북핵 위협에 대한 대처 방식에서 한·미·일 3국 사이에 단기적으로 어떤 견해 차가 있든,우리가 공동의 가치와 경제 및 안보 이해의 공유로 맺어져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북한 핵위기가 어떤 방식으로 낙착되든 세 동맹들의 이익을 보호하는 조율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국과 '긴밀한 실무적 관계(close working relationship)'를 유지하는 것을 미국과 일본의 과제로 제시했다.

미·일동맹을 중심으로 2020년까지 미국의 대 아시아 전략에 관한 제언을 담은 이 보고서는 한반도에 관한 전망에서 "북한이 끝내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가능성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말하고, 따라서 남북통일의 시나리오들 가운데 북한의 불안정 시나리오가 현실화하는 경우엔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관리문제가 생기고 어려운 도전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북한의 불안정 시나리오에 따른 남북통일은 또 한국에 너무 큰 부담을 줌으로써 한국의 민주제도와 경제번영을 위험에 빠뜨릴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서는 전망하고 이러한 모든 시나리오를 사전에 대비해 외교와 억지면에서 유례없는 기민성을 발휘해야 한다고 미국과 일본에 권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