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내달 6일께 4년 연임제 개헌안 발의와 함께 열린우리당을 탈당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이 경우 중립내각 구성을 위해 한명숙 총리와 정치인 출신 장관들의 교체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정치권에 따르면 노 대통령은 민생ㆍ개혁 입법안들의 초당적 처리와 개헌안 발의의 진정성을 알리기 위해 이번 임시국회 회기 중 당적을 정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기 말 당적 보유에 따른 정치적 중립성 시비에 휘말리지 않으면서 임기 말까지 마무리해야 할 중요 정책 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한다는 점도 탈당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열린우리당과의 관계에서 지난 14일 전당대회를 거쳐 정세균 신임 당 의장을 중심으로 한 새 당 지도부가 구축된 만큼 향후 대통합을 위한 당의 활로를 터주는 차원에서도 탈당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다.

노 대통령은 올 들어 신년회견 등에서 "당에 걸림돌이 된다면 탈당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힌 바 있고,정세균 당 의장도 노 대통령의 탈당과 관련,"필요하면 본인이 결정하면 된다"고 말해 탈당을 희망한다는 입장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노 대통령이 탈당할 경우 당 출신 인사들의 내각 퇴진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 출신으로 잠재적 대선후보군으로도 분류되는 한 총리가 사의 표명과 함께 당으로 복귀하고,정치인 출신 장관들도 물러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는 그러나 이 같은 관측에 대해 "전혀 근거 없는 시나리오"라며 전면 부인하고 있다.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은 노 대통령의 당적 정리와 관련,"기존 입장에서 변한 것이 없으며 개각을 위한 인선준비도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개헌안 처리에 야당이 전향적으로 협조한다거나 여당의 요구가 있을 경우 당적 정리를 검토할 수 있다는 기존 입장을 변화시킬 만한 환경의 변화가 없다는 지적이다.

또 다른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탈당은 대통령의 고도의 정치적 판단에 속하는 문제로 그와 관련한 방침이 결정된 바 없다"면서 "당에 길을 터주고 개헌안 처리의 동력을 얻기 위해 선도적 탈당을 결행할 것이라는 관측 역시 현실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다만 개헌안 처리 결과에 따라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개각을 단행할 가능성은 있지만 당적문제로까지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라는 분석이다.

한편 노 대통령은 27일 취임 4년을 맞아 인터넷 매체와 합동 인터뷰를 갖고 개헌안 발의와 개각 등에 대한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