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금리인상에도 엔貨는 약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본은행이 21일 7개월 만에 단기금리를 연 0.25%에서 0.5%로 올렸지만 엔화가치는 오후 3시 현재 달러당 120.45엔으로 전날보다 0.50엔 떨어졌다(엔·달러 환율 상승).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일본 금리가 미국보다 4.75%포인트 낮아 엔화 가치가 급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들과 수출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는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 약화는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엔화 약세 분위기를 타고 국내에서 일고 있는 일본 제품 소비 확대와 일본 여행 증가도 이어질 전망이다.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일본 경제는 생산,소득,지출의 선순환 메커니즘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완만한 경기 확대가 지속될 개연성이 높아 단기금리를 올렸다"고 발표했다.
이날 금융정책위원회에서 9명의 정책위원 중 8명이 금리 인상에 찬성하고 1명만 반대를 표시했다.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은 1990년 이후 엔화가치와 미·일 금리 차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금리 차이가 4%포인트 이상일 경우 엔화 약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이 금리를 연 1%까지 올려 미국(연 5.25%)과의 차이가 4%포인트 수준으로 좁혀지지 않는 한 엔화가 강한 상승세로 돌아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둔 일본 정국을 감안할 때 당분간 추가 금리 인상이 여의치 않다는 전망까지 겹쳐 엔화는 이날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보였다.
전날까지만 해도 금리 인상 기대감으로 달러당 119엔대로 강세를 보였으나 이날 약세로 반전했다.
예상과 다른 엔화 약세로 엔화에 대한 원화가치는 100엔당 780원20전으로 강세를 보였다(원·엔 환율 하락). 원화가 엔화에 대해 전날보다 100엔당 3원25전 비싸진 것이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도쿄=최인한 특파원 schan@hankyung.com
전문가들은 이번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일본 금리가 미국보다 4.75%포인트 낮아 엔화 가치가 급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들과 수출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는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 약화는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엔화 약세 분위기를 타고 국내에서 일고 있는 일본 제품 소비 확대와 일본 여행 증가도 이어질 전망이다.
후쿠이 도시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일본 경제는 생산,소득,지출의 선순환 메커니즘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완만한 경기 확대가 지속될 개연성이 높아 단기금리를 올렸다"고 발표했다.
이날 금융정책위원회에서 9명의 정책위원 중 8명이 금리 인상에 찬성하고 1명만 반대를 표시했다.
미쓰비시도쿄UFJ은행은 1990년 이후 엔화가치와 미·일 금리 차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금리 차이가 4%포인트 이상일 경우 엔화 약세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이 금리를 연 1%까지 올려 미국(연 5.25%)과의 차이가 4%포인트 수준으로 좁혀지지 않는 한 엔화가 강한 상승세로 돌아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둔 일본 정국을 감안할 때 당분간 추가 금리 인상이 여의치 않다는 전망까지 겹쳐 엔화는 이날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약세를 보였다.
전날까지만 해도 금리 인상 기대감으로 달러당 119엔대로 강세를 보였으나 이날 약세로 반전했다.
예상과 다른 엔화 약세로 엔화에 대한 원화가치는 100엔당 780원20전으로 강세를 보였다(원·엔 환율 하락). 원화가 엔화에 대해 전날보다 100엔당 3원25전 비싸진 것이다.
한상춘 논설·전문위원·도쿄=최인한 특파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