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 주자들은 25일 강재섭 대표가 주최한 간담회에서 당 중심의 정책 및 도덕성 검증 필요성에 공감하고 경선 결과에 승복하기로 했다.

그러나 첨예한 이슈인 '경선 시기 및 방식'과 관련해서는 이견만 노출돼 만남 자체에 만족하는 원론적 수준에 머물렀다.

특히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들러리는 절대 서지 않겠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이에 따라 지도부가 추진한 합의문 채택도 불발됐다.


◆'합의'가 아닌 '공감'=나경원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주자들은 당 경선준비위에서 다음 달 10일까지 경선 시기와 방식이 원만하게 도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경선 결과에 흔쾌히 승복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나 대변인은 '검증' 문제와 관련,"대선 주자들의 정책과 도덕성에 대해 당이 검증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고 밝혔다.

대선 주자들의 이날 의견 수렴은'합의'가 아닌'공감'이라는 점에서 구속력을 갖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손학규 배수진=당 규정에 경선은 오는 6월 실시토록 돼 있다.

방식은 대의원 20%,당원 30%,일반 국민 30%,여론 조사 20%를 각각 반영케 하고 있다.

이런 경선 룰 변경과 관련,손 전 지사는 배수진을 친 분위기다.

그는 "경선은 본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가장 경쟁력 있는 후보를 선택하는 것"이라며 "특정 후보를 위한 들러리를 세우는 룰에는 합의할 생각이 없다"고 말한 후 선약을 이유로 자리를 먼저 떴다.

한 측근은 "상대(열린우리당)는 10월 경선 얘기가 나오는데 규정대로 6월에 실시해 집중 견제당하면 안 된다"며 "조기 실시는 여론 지지율이 높은 이명박 전 시장의 들러리를 세우는 꼴이다.

경선 시기를 늦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 전 지사측의 정문헌 의원이 지난주 "경선 룰을 그대로 가져간다면 경선에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엄포를 놓은 것의 연장선상이다.

갈라설 수도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현행 경선 구도가 박근혜-이명박 양자대결 양상으로 고착화되는 흐름을 보이면서 자신의 공간이 좁아지고 있는 국면을 타개하기 위해 승부수를 띄우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다.

◆박-이 이견 팽팽=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경선 룰에 대해 "(당) 기구에서 논의하는 게 맞다.

내가 언급하면 (경선준비위에 참여하고 있는 대선 주자) 대리인의 재량을 축소하기 때문에 말하지 않겠다"고 피해 갔다.

이 전 시장측은 경선 시기는 현행대로,방식은 국민 참여의 대폭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는 "대리인을 내세워 합의하는 게 합법적인가. 당원이 합의해서 결정한 것을 후보들이 바꿀 수 없다"고 맞받았다.

그는 또 "(현행 당헌은) 공정하게 모든 의견을 수렴해서 9개월간 만든 것이다.유·불리를 떠나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며 경선 룰 변경에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다만 경선 시기·방식에 대해 당원들의 공감대가 있다면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