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더본코리아 사장 "'우삼겹'으로 외식 프랜차이즈시장 돌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외식시장에 '우삼겹'이라는 메뉴가 화제다.
쇠고기지만 생김새가 돼지 삼겹살과 똑같이 생겨 '우삼겹'이란 이름이 붙었다.
가격이 싸고 육질이 쫄깃해 고객들의 호평을 받으면서 '우삼겹'을 파는 고깃집이 하나둘 씩 늘어나고 프랜차이즈점까지 생겨나고 있다.
'우삼겹'을 만들어낸 '원조'는 ㈜더본코리아의 백종원 사장(42)이다.
백 사장은 서울 강남구 논현동 영동시장 '먹자골목'에서 6∼7개의 '대박집'을 거느린 '식당 운영의 귀재'로 통한다.
그의 대표 가게인 '원조쌈밥집'은 기다란 직사각형 틀에 야채쌈을 놓아 쌈밥의 형태를 바꿔놓았다.
여기에 삼겹살을 얇게 썰어 특허 등록까지 한 '대패삼겹살'은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며 1시간 이상 줄을 서야만 먹을 수 있다.
쌈밥집에 이어 현대식 포장마차인 '한신포차'가 히트했고 '7분 김치찌개'(7분 동안 기다리도록 타이머를 설치)로 유명한 '새마을식당'과 '감자골' '해물떡찜' '행복분식' '홍콩반점' 등이 모두 그의 아이디어와 솜씨로 만들어졌다.
백 사장은 어린시절부터 미식가인 아버지를 따라 '맛집'을 두루 섭렵하며 자랐다.
가족들 모두 미식가라 가족여행은 관광지가 아니라 '속초 ○○식당' '여수 ○식당'을 찾아가는 식이었다.
일단 먹고 난 뒤 시간이 남으면 주변 관광지를 돌아봤다.
외식도 까다롭게 했다.
맛집을 찾기 위해 가족들이 식당을 다섯 차례나 옮긴 전력도 있다.
백 사장은 요리에도 일가견이 있다.
어렸을 때부터 맛있는 집에서 먹은 것을 그대로 만들어 보곤 했다.
특히 학사장교로 군에 들어가 보직에도 없는 '취사장교'를 자원해 요리를 마음껏 해보기도 했다.
그는 제대 후 외식업을 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연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한 엘리트가 내세울 것 없는 음식장사를 한다는 것이 부끄러웠다.
대신 인테리어 사업으로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IMF 위기 때 환율이 올라 자재 가격이 두 배로 뛰면서 무려 17억원이라는 빚을 떠안았다.
빈털터리가 된 백 사장은 인테리어 사업을 하면서 우연히 인수하게 된 '쌈밥집'에서 운명처럼 식당을 시작했다.
"쌈밥집으로 빚쟁이들을 모두 불러 여기서 돈을 벌어 갚겠다고 했지요. 진심이 통했는지 이 가게만 남겨주더군요. 다음 날부터 전단지를 돌렸지요. 아파트 수위들한테 멱살 잡히고 뒤통수도 많이 맞았지요. 그때 흘린 눈물은 제 인생의 밑거름이 됐습니다."
번듯한 인테리어 회사 사장님 직함을 갖고 단골로 다니던 술집 직원들이 쌈밥집으로 밥을 먹으러 올 때면 민망하고 자존심이 상해 마주치지 않으려고 피하기도 했다.
그는 이를 악물었고 하루 4시간만 자는 강행군을 이겨내며 성공의 발판을 마련했다.
백 사장은 앞으로 '우삼겹'을 세계적인 음식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한국식 불고기는 고기를 양념해서 1∼2일 숙성시키기 때문에 고기 색깔이 검게 변해 외국사람들이 꺼립니다.선홍빛이 없어 신선하지 않다고 생각하지요.이를 위해 개발한 것이 '우삼겹'입니다."
그는 "선홍빛을 살리려면 바로 양념을 해 내놔야 하지만 그러면 양념이 잘 배지 않습니다.양념을 배게 하려면 고기를 얇게 썰어야 하지요.그러나 꽃등심처럼 마블링이 있는 부위는 얇게 썰면 찢어져 버립니다.이에 적합한 부위를 찾다가 '우삼겹'을 개발한 것이지요"라고 설명했다.
'우삼겹'은 차돌박이 부위와 그 주변의 양지살을 동시에 자른 것이다.
백 사장은 이 부위를 찾기 위해 며칠 밤을 꼬박 새우며 수십마리의 소를 잡았다고 한다.
백 사장은 '우삼겹'을 파는 '본가'의 지점을 국내에서 12군데 운영 중이다.
중국도 칭다오와 상하이 베이징 다롄 등 12곳에서 '우삼겹'을 팔고 있다.
중국은 지점당 평균 500평 규모의 대형 매장으로 이미 확실하게 자리를 잡았다.
백 사장은 조만간 일본과 미국으로 진출,불고기 종주국의 명성을 전 세계에 떨치겠다는 각오다.
국내 외식경영 박사 1호인 한양옥 한국외식정보 이사는 "백 사장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이를 강한 추진력으로 현실화시킨 뒤 인내력을 갖고 성공을 기다리는 '3박자'를 갖췄다"며 "차세대 외식업을 선도할 사람으로 백 사장을 주저없이 꼽는다"고 말했다.
글=한은구 기자/사진=김병언 기자 tohan@hankyung.com
==================================================
< 식당 창업 성공하려면… >
▶입으로 느끼는 맛은 30%에 불과하다= 사람들이 맛있다고 느끼는 것을 100%라고 한다면 입으로 느끼는 맛은 30%다.나머지 70%를 찾아내라.
▶주인 스스로 60%는 만들줄 알아야 한다= 같은 업종의 다른 음식점에 들어가 두 달 이상 일하면서 실전 경험을 쌓으면 좋다.
▶인내심이 필요하다= 손님들에게 인정받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짧게는 2개월에서 길게는 1년 정도 흔들리지 말고 밀고 나갈 인내심이 필요하다.
▶손님의 반응을 알려면 문밖에서 들어라= 손님들에게 "맛있습니까" 하고 묻는 것은 어리석다.대놓고 "맛없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평가를 묻지 말라= 식구들,친구들이 몰려들어 이런저런 얘기를 해댄다.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하고 준비했으면 밀고 나가야 한다.
쇠고기지만 생김새가 돼지 삼겹살과 똑같이 생겨 '우삼겹'이란 이름이 붙었다.
가격이 싸고 육질이 쫄깃해 고객들의 호평을 받으면서 '우삼겹'을 파는 고깃집이 하나둘 씩 늘어나고 프랜차이즈점까지 생겨나고 있다.
'우삼겹'을 만들어낸 '원조'는 ㈜더본코리아의 백종원 사장(42)이다.
백 사장은 서울 강남구 논현동 영동시장 '먹자골목'에서 6∼7개의 '대박집'을 거느린 '식당 운영의 귀재'로 통한다.
그의 대표 가게인 '원조쌈밥집'은 기다란 직사각형 틀에 야채쌈을 놓아 쌈밥의 형태를 바꿔놓았다.
여기에 삼겹살을 얇게 썰어 특허 등록까지 한 '대패삼겹살'은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며 1시간 이상 줄을 서야만 먹을 수 있다.
쌈밥집에 이어 현대식 포장마차인 '한신포차'가 히트했고 '7분 김치찌개'(7분 동안 기다리도록 타이머를 설치)로 유명한 '새마을식당'과 '감자골' '해물떡찜' '행복분식' '홍콩반점' 등이 모두 그의 아이디어와 솜씨로 만들어졌다.
백 사장은 어린시절부터 미식가인 아버지를 따라 '맛집'을 두루 섭렵하며 자랐다.
가족들 모두 미식가라 가족여행은 관광지가 아니라 '속초 ○○식당' '여수 ○식당'을 찾아가는 식이었다.
일단 먹고 난 뒤 시간이 남으면 주변 관광지를 돌아봤다.
외식도 까다롭게 했다.
맛집을 찾기 위해 가족들이 식당을 다섯 차례나 옮긴 전력도 있다.
백 사장은 요리에도 일가견이 있다.
어렸을 때부터 맛있는 집에서 먹은 것을 그대로 만들어 보곤 했다.
특히 학사장교로 군에 들어가 보직에도 없는 '취사장교'를 자원해 요리를 마음껏 해보기도 했다.
그는 제대 후 외식업을 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연세대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한 엘리트가 내세울 것 없는 음식장사를 한다는 것이 부끄러웠다.
대신 인테리어 사업으로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IMF 위기 때 환율이 올라 자재 가격이 두 배로 뛰면서 무려 17억원이라는 빚을 떠안았다.
빈털터리가 된 백 사장은 인테리어 사업을 하면서 우연히 인수하게 된 '쌈밥집'에서 운명처럼 식당을 시작했다.
"쌈밥집으로 빚쟁이들을 모두 불러 여기서 돈을 벌어 갚겠다고 했지요. 진심이 통했는지 이 가게만 남겨주더군요. 다음 날부터 전단지를 돌렸지요. 아파트 수위들한테 멱살 잡히고 뒤통수도 많이 맞았지요. 그때 흘린 눈물은 제 인생의 밑거름이 됐습니다."
번듯한 인테리어 회사 사장님 직함을 갖고 단골로 다니던 술집 직원들이 쌈밥집으로 밥을 먹으러 올 때면 민망하고 자존심이 상해 마주치지 않으려고 피하기도 했다.
그는 이를 악물었고 하루 4시간만 자는 강행군을 이겨내며 성공의 발판을 마련했다.
백 사장은 앞으로 '우삼겹'을 세계적인 음식으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한국식 불고기는 고기를 양념해서 1∼2일 숙성시키기 때문에 고기 색깔이 검게 변해 외국사람들이 꺼립니다.선홍빛이 없어 신선하지 않다고 생각하지요.이를 위해 개발한 것이 '우삼겹'입니다."
그는 "선홍빛을 살리려면 바로 양념을 해 내놔야 하지만 그러면 양념이 잘 배지 않습니다.양념을 배게 하려면 고기를 얇게 썰어야 하지요.그러나 꽃등심처럼 마블링이 있는 부위는 얇게 썰면 찢어져 버립니다.이에 적합한 부위를 찾다가 '우삼겹'을 개발한 것이지요"라고 설명했다.
'우삼겹'은 차돌박이 부위와 그 주변의 양지살을 동시에 자른 것이다.
백 사장은 이 부위를 찾기 위해 며칠 밤을 꼬박 새우며 수십마리의 소를 잡았다고 한다.
백 사장은 '우삼겹'을 파는 '본가'의 지점을 국내에서 12군데 운영 중이다.
중국도 칭다오와 상하이 베이징 다롄 등 12곳에서 '우삼겹'을 팔고 있다.
중국은 지점당 평균 500평 규모의 대형 매장으로 이미 확실하게 자리를 잡았다.
백 사장은 조만간 일본과 미국으로 진출,불고기 종주국의 명성을 전 세계에 떨치겠다는 각오다.
국내 외식경영 박사 1호인 한양옥 한국외식정보 이사는 "백 사장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고 이를 강한 추진력으로 현실화시킨 뒤 인내력을 갖고 성공을 기다리는 '3박자'를 갖췄다"며 "차세대 외식업을 선도할 사람으로 백 사장을 주저없이 꼽는다"고 말했다.
글=한은구 기자/사진=김병언 기자 tohan@hankyung.com
==================================================
< 식당 창업 성공하려면… >
▶입으로 느끼는 맛은 30%에 불과하다= 사람들이 맛있다고 느끼는 것을 100%라고 한다면 입으로 느끼는 맛은 30%다.나머지 70%를 찾아내라.
▶주인 스스로 60%는 만들줄 알아야 한다= 같은 업종의 다른 음식점에 들어가 두 달 이상 일하면서 실전 경험을 쌓으면 좋다.
▶인내심이 필요하다= 손님들에게 인정받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짧게는 2개월에서 길게는 1년 정도 흔들리지 말고 밀고 나갈 인내심이 필요하다.
▶손님의 반응을 알려면 문밖에서 들어라= 손님들에게 "맛있습니까" 하고 묻는 것은 어리석다.대놓고 "맛없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평가를 묻지 말라= 식구들,친구들이 몰려들어 이런저런 얘기를 해댄다.나름대로 열심히 생각하고 준비했으면 밀고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