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자제품 '클린마크' 의무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내에서 생산되거나 수입되는 1800종의 전자제품과 부품 및 포장물에 1일부터 오염물질 사용 여부를 명기해야 한다.
전자제품 제조업체들은 클린(clean)마크 부착 의무화로 원가가 10~20%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7개 부처는 1일 '전자정보제품 오염통제 관리방법'을 이날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납 수은 카드뮴 등 6대 유해물질을 포함,제품 사용 때 들어간 물질의 종류와 함량을 스티커에 부착토록했다.
또 앞으로 중점관리목록을 작성,이에 해당되는 품목은 사용허용치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통관 및 판매불허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유해물질의 허용치 범위와 측정 방법 등의 기준안을 만들고 있으며 현재 기업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전자제품을 폐기한 뒤 발생하는 각종 오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오염 통제를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이와 관련,전자제품 메이커들이 10~20%의 원가 추가부담을 안게 됐다고 보도했다.
선전의 한 전자부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친환경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앞으로 점점 판매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특히 완제품 제조업체는 올 상반기에 발효될 순환경제법에 따라 폐기물의 처리의무까지 지게 돼 원가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중국 내에서 생산하거나 수입해서 판매되는 제품에만 우선 적용하고 수출품에 대해선 적용을 보류했다.
이는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트라 상하이무역관 박한진 차장은 "중국 정부가 환경보호제도를 정비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만큼 앞으로 이 같은 조치가 잇따라 발표될 것"이라며 "환경친화적인 제품개발과 환경마케팅 등에 적극적으로 힘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전자제품 제조업체들은 클린(clean)마크 부착 의무화로 원가가 10~20%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7개 부처는 1일 '전자정보제품 오염통제 관리방법'을 이날부터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납 수은 카드뮴 등 6대 유해물질을 포함,제품 사용 때 들어간 물질의 종류와 함량을 스티커에 부착토록했다.
또 앞으로 중점관리목록을 작성,이에 해당되는 품목은 사용허용치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초과할 경우 통관 및 판매불허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중국 정부는 유해물질의 허용치 범위와 측정 방법 등의 기준안을 만들고 있으며 현재 기업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전자제품을 폐기한 뒤 발생하는 각종 오염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오염 통제를 강화한다"고 설명했다.
중국 관영 차이나데일리는 이와 관련,전자제품 메이커들이 10~20%의 원가 추가부담을 안게 됐다고 보도했다.
선전의 한 전자부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친환경제품을 만들지 않으면 앞으로 점점 판매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고 우려했다.
특히 완제품 제조업체는 올 상반기에 발효될 순환경제법에 따라 폐기물의 처리의무까지 지게 돼 원가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중국 내에서 생산하거나 수입해서 판매되는 제품에만 우선 적용하고 수출품에 대해선 적용을 보류했다.
이는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코트라 상하이무역관 박한진 차장은 "중국 정부가 환경보호제도를 정비하겠다는 의지가 강한 만큼 앞으로 이 같은 조치가 잇따라 발표될 것"이라며 "환경친화적인 제품개발과 환경마케팅 등에 적극적으로 힘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