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단행된 경제부처 고위직과 공기업,금융기관 최고위층 인사를 부산이 싹쓸이 하고 있다.

특정 지역으로의 쏠림 현상,특히 노무현 대통령과 연고가 있는 지역 인사들의 독점화를 비판하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4일 관계 및 금융계에 따르면 지난달 단행된 김석동 재정경제부 제1차관의 발탁 인사를 시작으로 부산지역 인사들이 우리금융지주회사와 시중은행장,주택공사 등 '공룡' 공기업 사장으로 대거 선임되고 있다.

부산출신인 박병원 전 재경부 1차관의 경우 지난 2일 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윤리위)에서 '우리금융 회장 취임에 문제가 없다'는 내용의 취업 승인 심사를 얻어 임기 3년의 우리금융 회장직에 사실상 내정됐다.

지난달 22일 신임 주택공사 사장에 내정된 박세흠 전 대우건설 사장은 부산고 출신으로 변양균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창록 산업은행 총재 등과 졸업동기이기도 하다.

당시 박 사장의 내정은 청와대 인사추천회의가 열리기 전에 기정사실화된 상황이었다.

삼성에 이어 자산순위 2위에 랭크된 한국전력 사장 자리는 부산 동아고 선후배끼리 경합을 벌이고 있다.

지난 2일 청와대 인사추천위원회에서 이원걸 전 산업자원부 2차관과 곽진업 현 한전 감사(전 국세청 차장)가 후보로 올랐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해 이번 주로 인선이 연기됐다.

에너지·자원정책 전문 관료로 전문성을 갖춘 이 전 차관이 유력하지만 곽 감사의 경우 한전 감사로서 능력을 인정받고 있고 정치권과의 교분도 두터운 것으로 알려졌다.

강권석 현 행장과 함께 기업은행장 후보에 올라와 있는 장병구 수협대표는 부산 출신은 아니지만 2000년 11월 당시 해양수산부 장관이었던 노 대통령이 만성적자에 허덕이던 수협 정상화를 위해 은행장으로 영입한 케이스.기업은행장 역시 지난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인사추천회의에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노 대통령의 '낙점'에 맡기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새로 선임된 인사들이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경영 능력이 없다고 할 수 없으나 특정 지역으로의 편중현상은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애초부터 인사 추천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졌는지 의문이라는 것이다.

또 재경부 내에서는 행시 23회인 김석동 차관의 발탁으로 선배들이 대거 옷을 벗으면서 주택금융공사 사장 등의 자리를 '챙겨줘야'하는 상황이 생기자 금융계의 반발을 초래하고 있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직위에 걸맞은 인사가 조직의 자율적 추천 과정과 철저한 검증을 통해 임명되는 것일 뿐 인사에는 관여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이다.

특히 우리금융지주 회장의 경우 공적자금이 들어가 정부가 대주주가 됐으나 정부는 임명권을 갖고 있지 않으며 최종 후보로 추천된 인사에 대해 검증만을 할 뿐이라는 것이다.

윤승용 청와대 홍보수석은 최근 브리핑에서 공기업 및 금융기관장에 대한 코드인사 논란과 관련,"능력과 품격,인사 검증을 볼 뿐 코드인사를 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