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을 가다] (중) 영종지구‥4200만평 규모 '동북아 불류허브'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영종지구는 2020년까지 국제 물류 및 관광도시로 개발돼 총 15만6000명의 내·외국인이 입주하게 된다.
세계 59개 항공사,133개 도시를 연결하는 동북아 최대 거점공항인 인천공항을 끼고 있어 동북아 물류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수행할 것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기대하고 있다.
영종지구에는 △공항·자유무역지역(1700만평) △물류·첨단 산업단지(120만평) △용유·무의 관광단지(213만평) △운북복합레저단지(83만평) △토공 영종지역사업(578만평) △영종·용유 역세권개발사업(30만평) 등 굵직굵직한 개발사업이 많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각 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올 하반기 중 용역을 발주,내년까지 '영종지구 통합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세울 계획이다.
또 △항공화물 관련 기업 △글로벌 아웃소싱 기업 △유통·물류·가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투자유치를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현재 육지와 영종도를 잇는 교통망은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가 유일하다.
하지만 인천공항철도 개통이 임박한 데다 2009년 10월 인천대교가 완공될 예정이어서 교통수단이 훨씬 다양해질 전망이다.
또 영종지구~청라지구를 잇는 제3연륙교와 제2공항철도도 계획되고 있어 향후 이동요금이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세계 59개 항공사,133개 도시를 연결하는 동북아 최대 거점공항인 인천공항을 끼고 있어 동북아 물류 중심지 역할을 톡톡히 수행할 것으로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기대하고 있다.
영종지구에는 △공항·자유무역지역(1700만평) △물류·첨단 산업단지(120만평) △용유·무의 관광단지(213만평) △운북복합레저단지(83만평) △토공 영종지역사업(578만평) △영종·용유 역세권개발사업(30만평) 등 굵직굵직한 개발사업이 많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각 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 올 하반기 중 용역을 발주,내년까지 '영종지구 통합개발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세울 계획이다.
또 △항공화물 관련 기업 △글로벌 아웃소싱 기업 △유통·물류·가공기업 등을 대상으로 투자유치를 적극 추진해 나갈 방침이다.
현재 육지와 영종도를 잇는 교통망은 인천국제공항 고속도로가 유일하다.
하지만 인천공항철도 개통이 임박한 데다 2009년 10월 인천대교가 완공될 예정이어서 교통수단이 훨씬 다양해질 전망이다.
또 영종지구~청라지구를 잇는 제3연륙교와 제2공항철도도 계획되고 있어 향후 이동요금이 더욱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