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 요직 두루 거쳐 국정전반 정통"
한미 FTA 관리 내각에도 적임자 평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오는 7일 물러나는 한명숙(韓明淑) 총리 후임으로 한덕수(韓悳洙)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을 유력하게 검토중인 것으로 5일 알려졌다.

한 전 부총리는 참여정부 들어 국책연구기관장인 산업연구원장, 국무조정실장, 경제 부총리, 총리 직무대행을 거치는 등 줄곧 내각의 요직을 맡아오며 국정 전반에 정통해 임기말 총리에게 요구되는 치밀한 정책관리 역량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한 전 부총리는 원만한 성품과 합리적 일처리가 돋보이는 경제관료 출신이어서 노 대통령이 새 총리 인선 기준으로 밝혔던 '실무.행정형' 총리 기조에 적임인데다, 국회 인준 통과도 무난할 것이라는 청와대 내부 평가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오는 8일 인사추천회의를 거쳐 이르면 이날중 새 총리 지명자를 발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복수의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김우식 부총리, 전윤철 감사원장, 한덕수 전 부총리 등 후보군의 여러 측면을 놓고 검토중"이라며 "종합적인 판단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결정되겠지만 실무ㆍ행정형 기조가 중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정부 소식통은 "후보에 오른 3명 모두 총리 후보로서 손색이 없지만 김 부총리나 전 감사원장의 경우 현직에서 이동할 경우의 문제 등이 있고, 실무ㆍ행정형이라는 기조면에서 한 전 부총리쪽이 높은 점수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특히 임기말 총리가 챙겨야 할 최우선 내치 과제인 경제문제를 꼼꼼히 챙길 수 있는 경제관료 출신인데다, 무엇보다 현재 대통령 직속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체결지원위원장 겸 대통령 한미FTA 특보를 맡고 있어 한미 FTA 타결시 내각이 후속 관리 체제를 갖춰야 한다는 면에서도 강점"이라고 말했다.

김우식(金雨植)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은 청와대 비서실장 출신으로 노 대통령의 국정 철학에 정통하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지만, 이공계 출신 부총리로서 과학기술혁신의 토대를 구축하는 역할을 해왔다는 점에서 교체시 발생할 업무 추진 공백이 부담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부총리 체제에서 과학기술행정이 어느 때보다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 역설적으로 인선의 고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김 부총리는 노 대통령의 총리 인선에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과학기술행정에 더욱 전념하겠다는 의사를 최근 청와대에 전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윤철 감사원장은 경제관료 출신 첫 감사원장으로 무난하게 감사원을 이끌었고, 조직 장악력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만 총리로 발탁할 경우 후임 감사원장을 인선해야 하고, 총리 국회 인준에 이어 감사원장 국회 인준 절차까지 거쳐야 하는 절차적 부담이 있다는 지적이다.

또 노 대통령이 임기 1년을 채 남겨 놓지 않은 시점에서 임기 4년의 새 감사원장을 임명하는 것은 정치권의 반발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 대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연합뉴스) 성기홍 김재현 이상헌 기자 sgh@yna.co.krjahn@yna.co.krhoneyb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