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통장(統長)이 사라지고 있다.

시·군·구 등 기초 지방자치단체들이 'e-거버넌스' 등 온라인 행정을 통해 직접 대민(對民) 업무를 처리하는 사례가 많아지는 탓이다.

아파트 관리사무소장이 통장의 기능을 대신하는 것도 주요 요인.동(洞)의 하부 조직으로 정책 홍보,민원 수렴 등 행정 업무를 보조해온 통장직이 구조조정의 회오리를 맞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 부천시는 현재 1173명인 통장을 내년 말 650명 선으로 절반가량 감축하는 조례를 지난달 12일 확정,고시했다.

부천시 관계자는 "유비쿼터스형 전자행정이 구현되면서 민원 수집이 주 목적인 전통적 통장 업무가 많이 줄었다"고 말했다.

부천시는 연간 20여억원의 비용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앞서 서울 서초구는 1999년 통장직을 무급제로 전환,7년간 123억원을 절감한 데 이어 올해는 아예 777개에 달한 통 수를 491개로 37%가량 줄였다.

송파구도 아파트 지역의 통장 수를 대폭 줄이기로 하고 관련 조례를 개정 중이다.

송파구 관계자는 "최저 연령 제한을 없애 활동적인 20대 통장도 나올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통장이 구조조정되면 통장 선거 과열 경쟁에 따른 잡음도 상당 부분 없어질 전망이다.

한 번 통장이 되면 최장 6년(기본 임기 2년+2회 연임 가능) 동안 활동이 가능한 데다,상당액의 활동비를 지급하면서 매번 통장 후보로 2~3명이 경쟁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 지역에서는 '통장고시(考試)'라는 말까지 나왔을 정도.통장 활동비는 매월 20만원 안팎이지만,연간 200%의 특별상여금,회의 수당(회당 4만원),중.고생 자녀 학자금 등을 합치면 연간 300만원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통장 통폐합 추세는 행정구역 조정 논의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행정자치부 관계자는 "통제 구조조정은 단위 지자체 통폐합과 사실상 같은 구조의 문제"라며 "올해 대선에서 이슈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관우 기자 leebro2@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