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제품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를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이라 한다. 특정 목적에 맞춰 설계된 컴퓨터 시스템을 말한다. 로봇을 이용한 공장자동화,화성탐사선,모바일 단말기,내비게이션,인터넷 냉장고,인터넷TV 등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를 일컫는다.

지난 11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센터에서 시작된 '세계 컴퓨터 과학자 서울대회'에서도 임베디스 시스템은 화두가 됐다. 행사에 참가한 국내외 대학 컴퓨터 소프트웨어 교수들이 '임베디드 시스템 시장과 교육'이란 주제로 좌담회를 가졌다. 이들은 앞으로 임베디드 시스템이 정보기술( IT) 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참석자

홍성수 교수(서울대 공과대학 전기 컴퓨터공학과)

테이 웨이 쿠오 부학장(대만 국립대학 전자컴퓨터공학부)

배럿 브라이언트 교수(앨라배마 버밍햄대 컴퓨터정보과학과)

김학린 교수(미국 이스트 스트라우그버즈 대학 컴퓨터공학부)

사회:홍지만 교수(숭실대 컴퓨터공학과)


▶사회 홍지만 교수=임베디드 시스템이 한마디로 무엇입니까.

▶홍성수 교수=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입니다.기기와 현실세계를 연결하는 통로로 작용하는 시스템이지요.

▶사회=우리 가정에서 지금 몇 개의 임베디드 기기를 쓰고 있을까요.

▶김학린 교수=집에서 약 40~60개를 쓰고 있어요.커피메이커,식기세척기,휴대폰,전화기 등 거의 모든 기기에 임베디드 시스템이 들어가 있죠.아닌 게 없을 정도예요.

▶브라이언트 교수=임베디드 시스템으로 우리 주위의 각종 제품이 똑똑해지고 있죠.

▶사회=현재 어느 수준에 와 있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요.

▶홍 교수=2003년까지 80억개의 임베디드 기기가 등장했습니다. 2010년까지 160억개,2015년엔 400억개가 될 거예요. 한 사람당 평균 3개의 임베디드 기기를 갖는 거죠.임베디드 기기 시장은 해마다 10% 이상씩 커지고 있습니다.

▶사회=임베디드 시스템의 장·단점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홍 교수=국가기반 산업까지 바꿀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이 바로 임베디드 시스템이에요.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로 우리나라 국가경쟁력도 강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은 적용 분야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IT산업뿐 아니라 다른 모든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유럽은 지금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에 상당히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활용한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자가 시장을 뒤집을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시장을 창출해 주도할 전환점을 만드는 것이죠.

▶김 교수=보안 문제가 단점이라면 단점일 수 있지요. 모든 기기에 소프트웨어가 임베디드(내장)되면 개인정보 노출이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사회=누가 임베디드의 주 고객입니까.

▶홍 교수=젊은층이지요. 어머니 아버지 세대와는 기술을 대하는 태도부터 다르잖아요.

▶사회=임베디드 시스템의 역할이라면 무엇이 있을까요.

▶테이 웨이 쿠오 교수=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가치,비용절감,혁신성,유용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반 휴대폰과 스마트폰은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같은 종류,비슷한 모양의 상품이라도 어떤 내용을 담았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완전히 달라집니다. 임베디드 시스템이 보편화하면 모든 면에서 비용이 절감됩니다. 종이와 펜을 쓰던 때와 키보드,스크린을 쓰는 지금은 효율성에서 차이가 크죠.임베디드 시스템은 시간싸움입니다. 누가 먼저 기술을 내놓느냐가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기기에 여러 가지 기술을 결합하면 '1인 다역'을 하니 유용하지요.

▶사회=대학에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을 어떻게 해야 되나요.

▶홍 교수=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하드웨어보다 중요합니다. 더 많은 기능이 통합될수록 더 나은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지요. 어떻게 하면 더 많은 기능을 효율적으로 합치느냐가 관건입니다. 현재 대학에서 이 기술을 가르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과목 자체도 어렵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다 알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 기업에서 쓰는 기술과 대학에서 배우는 기술 자체가 많이 다릅니다.

▶김 교수=지난 학기에 임베디드 과목을 처음 가르쳤는데,한 학기에 소화하기가 버거웠습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설계를 가르치거나 토론할 시간이 부족합니다.

▶브라이언트 교수=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가려면 많은 사전 지식이 필요하지요. 여러 사람이 전문화한 교육을 해야 합니다. 제대로 된 설계를 위해서는 팀 프로젝트로 움직여야 하고요.

▶쿠오 교수=대만도 마찬가지입니다.혼란스러웠지요.그후 정부가 태스크포스를 구성하는 등 적극 나섰지요.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의 혼란이 예상되자 작년 초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고 분야별 경쟁을 유도해 대회를 만들었어요. 3~5명의 학생과 연구원이 팀을 이뤄 연구계획서를 내고 기업 관계자와 교수가 평가를 했지요.

4라운드까지 합격한 팀에 연구비를 줬습니다. 그후 인식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긍정적으로요. 지금은 기업이 유능한 인재를 끌어가려고 대학에서 특별 강좌를 개설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자금 지원 등 최소한의 투자는 절실하지요.

▶홍 교수=한국의 경우 기업과 정부의 지원이 너무 부족합니다.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의 중요성을 아직 크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게 안타깝지요. 최신 장비는 1,2년만 지나도 오래된 장비가 됩니다. 끊임없이 새것으로 바꿔야 하는데… 최신 장비가 있어야 개발에 집중할 수 있어요. 기업과 정부가 그 역할을 해 주어야 임베디드 시스템 산업이 발전할 수 있어요.

▶김 교수=독일의 경우 기업과 학교가 끈끈하게 연결돼 있지요. 본받을만 합니다.

▶홍 교수=우리나라도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교육에 나서야 합니다. 학교 안에서 교수들만 담당하기에는 무리가 따르죠.미래의 산업을 이끌 핵심 기술인 데도 이공계 학생들의 관심이 부족해요.

===============================================

[ 용어설명 ] 임베디드

일반 컴퓨터가 아닌 각종 전자제품이나 정보기기 등에 내장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다.

예를 들어 주된 용도가 통화인 휴대폰에 텔레비전 기능이 들어 있다면 텔레비전 기능을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PDA에 들어 있는 음성 솔루션,텔레비전 전기밥솥 냉장고 자동차 등에 내장돼 있는 웹 기능 등도 모두 임베디드 시스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