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다녀온 이화영 의원 "정상회담 北도 공감…잘되면 좋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해찬 전 총리와 함께 북한을 방문한 열린우리당 이화영 의원은 12일 "6자회담 실무그룹 회의에서 성과가 나오면 필연적으로 (남북)정상 간의 합의사항이 나올 수밖에 없고 자연스럽게 정상회담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싶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날 귀국에 앞서 CBS라디오에 출연,"그런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고 북측도 상당한 공감을 표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북측이 이전까지 (남북 정상회담을) 왜 하느냐는 분위기였다면 이번에는 잘 됐으면 좋겠다는 낙관론을 표명했다"며 "정무 실무자가 아니어서 '기브 앤드 테이크(주고 받기)' 식으로 할 수는 없었지만 상황 인식을 공유하면서 정상회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게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실무회담 논의가 잘 진행되면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경우 남한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라도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이 생기고 이런 과정을 통해 남북 정상 간 합의사항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 전 총리는 이날 귀국 직후 인천공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2·13 합의사항 이행이 순조로울 경우 4월 이후 남북 정상회담을 검토해볼 수 있겠지만 그것은 내 의견일 뿐"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 전 총리는 "북측이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며 "특히 북측이 전불자(전쟁 시기와 그 이후 행방불명자) 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적십자에서 논의해 보자고 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중국 베이징 외교가에는 정상회담이 북한 개성이나 제3국에서 열릴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 혹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회담설 등도 나오고 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이 먼저 방북한 뒤 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이 순차적으로 열릴 것이라는 시나리오도 나오고 있다.
정상회담 개최 시기로는 2000년처럼 6월15일이나 8·15 광복절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주중 한국대사관 측은 정상회담 추진설에 대해 "너무 앞서가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강동균 기자/베이징=조주현 특파원 kdg@hankyung.com
이 의원은 이날 귀국에 앞서 CBS라디오에 출연,"그런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고 북측도 상당한 공감을 표시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의원은 "북측이 이전까지 (남북 정상회담을) 왜 하느냐는 분위기였다면 이번에는 잘 됐으면 좋겠다는 낙관론을 표명했다"며 "정무 실무자가 아니어서 '기브 앤드 테이크(주고 받기)' 식으로 할 수는 없었지만 상황 인식을 공유하면서 정상회담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게 가장 큰 성과"라고 평가했다.
그는 "실무회담 논의가 잘 진행되면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논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경우 남한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라도 남북 정상회담의 필요성이 생기고 이런 과정을 통해 남북 정상 간 합의사항이 나오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 전 총리는 이날 귀국 직후 인천공항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2·13 합의사항 이행이 순조로울 경우 4월 이후 남북 정상회담을 검토해볼 수 있겠지만 그것은 내 의견일 뿐"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 전 총리는 "북측이 '북·미관계 개선을 위한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며 "특히 북측이 전불자(전쟁 시기와 그 이후 행방불명자) 문제를 긍정적으로 검토해 적십자에서 논의해 보자고 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중국 베이징 외교가에는 정상회담이 북한 개성이나 제3국에서 열릴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가 나돌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정상회담 혹은 김대중 전 대통령과의 회담설 등도 나오고 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이 먼저 방북한 뒤 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정상회담이 순차적으로 열릴 것이라는 시나리오도 나오고 있다.
정상회담 개최 시기로는 2000년처럼 6월15일이나 8·15 광복절 등이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주중 한국대사관 측은 정상회담 추진설에 대해 "너무 앞서가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강동균 기자/베이징=조주현 특파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