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급등] 세입자 외곽으로 외곽으로‥서민들 집줄여 이사 '비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005년부터 서울 삼성동 22평형 아파트에서 살았던 김모씨(32)는 최근 2년간의 전세계약이 만료되면서 어쩔 수 없이 분당신도시 19평형으로 이사했다.
삼성동 아파트의 전셋값이 전세기간 중 6000만원이나 뛴 탓에 자금을 마련할 길이 없어 평형을 줄여 이사할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강남보다 전셋값이 싼 분당으로 이사를 가면서 평형까지 줄였는데도 전셋값은 오히려 2000만원을 더 줘야 했다"고 하소연했다.
전셋값이 1~2년 사이에 급등했던 데 따른 후폭풍으로 전.월세 세입자들이 평형을 줄여 타지로 이사가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통상 2년인 계약기간 중 전셋값이 5000만~6000만원씩 급등한 탓이다. 아파트를 버리고 전세가가 낮은 소형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으로 둥지를 옮기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심지어 전셋값이 2년 전보다 3배 가까이 오른 인천 송도지구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선 세입자들이 도심에서 더 떨어진 외곽지역으로 밀려 나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집 규모를 줄여 이사가면서 침구류 등 상당수 가구를 버릴 수밖에 없는 일까지 생겨 서민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전세물건 구하기 어려워
급등한 전셋값을 마련하기 힘든 세입자들은 우선 평형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30평형대에 거주하던 사람은 20평형대로,20평형대에 거주하던 사람은 10평형대로 이동하는 식이다.
서울 구로동 U아파트 21평형에 사는 김오승씨(34)는 오는 5월 전세계약 만기를 앞두고 밤잠을 설치고 있다. 2년 전 주변 시세보다 싼 7500만원에 신혼집을 마련했지만,전셋값이 현재는 1억3000만~1억4000만원대로 올랐기 때문이다. 김씨는 "주변에서 10평형대 아파트를 찾고 있지만,전세물건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어떻게 해야 할지 답답할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아파트에서 다가구주택으로
전세물건이 부족하다보니 아파트에 거주하던 세입자들이 줄줄이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으로 이동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일단 전셋값이 같은 평형 아파트보다 최고 수천만원 싸기 때문이다.
예컨대 돈암동 24평형 아파트의 전셋값은 1억3000만원 안팎인 데 비해 주변 다세대주택 전셋값은 9000만원 정도다. 돈암동 D부동산 관계자는 "아파트 전세물건이 워낙 귀하다보니 손님들이 다가구 또는 다세대주택을 많이 찾는다"며 "하지만 다세대주택 역시 전셋값이 많이 뛴 상황이어서 그냥 발길을 돌리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성북동에 거주하는 송모씨(40)는 "자녀가 두 명이어서 평형을 줄여가기도 만만치 않다"며 "주변 연립주택으로 이사가거나 대출을 받아 전셋값 상승분을 충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갈 곳이 마땅치 않다보니 울며 겨자먹기로 은행 대출을 받아 전셋값을 올려주는 경우도 허다하다. 분당신도시 시범단지 33평형 아파트에 사는 김모씨(42)는 "집주인이 7000만원을 더 줘야 계약을 연장해 주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며 "주변에 알아보니 다른 곳도 비슷한 상황이어서 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도심에서 외곽으로
용산구 청파동의 20평형 빌라에 사는 김모씨(41)는 주말만 되면 경기 남양주시 일대의 부동산 중개업소를 돌아다닌다. 집주인이 다음 달 전세계약 만료를 앞두고 2500만원을 더 올려달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서울 도심에서 전셋집을 구하고 싶지만 원하는 가격에 물건을 구하는 게 불가능하다"며 "회사와 거리가 멀더라도 수도권 외곽으로 나가는 길밖에 없는 것 같다"고 한숨을 쉬었다.
경기 용인에 거주하는 이모씨(39)는 "부산에서 거주하다 수도권 지사로 발령받아 용인에서 전세로 살고 있다"며 "현재 소유 중인 부산 아파트값보다 용인 전셋값이 두 배 이상 높아 어느새 도시 빈민층으로 전락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입주를 앞두고 있는 동탄 등 신도시의 경우 입주 3~4개월 전에 미리 계약해 두려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 동탄 S공인 관계자는 "서울이나 수도권 전셋값이 워낙 뛰다보니 요즘엔 입주를 한참 남겨놓고 미리 계약하려는 사람이 많다"며 "소유주 입장에서도 잔금 걱정을 덜 수 있어 이런 식의 계약이 꽤 이뤄지는 편"이라고 귀띔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삼성동 아파트의 전셋값이 전세기간 중 6000만원이나 뛴 탓에 자금을 마련할 길이 없어 평형을 줄여 이사할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강남보다 전셋값이 싼 분당으로 이사를 가면서 평형까지 줄였는데도 전셋값은 오히려 2000만원을 더 줘야 했다"고 하소연했다.
전셋값이 1~2년 사이에 급등했던 데 따른 후폭풍으로 전.월세 세입자들이 평형을 줄여 타지로 이사가는 사례가 크게 늘고 있다. 통상 2년인 계약기간 중 전셋값이 5000만~6000만원씩 급등한 탓이다. 아파트를 버리고 전세가가 낮은 소형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으로 둥지를 옮기는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심지어 전셋값이 2년 전보다 3배 가까이 오른 인천 송도지구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선 세입자들이 도심에서 더 떨어진 외곽지역으로 밀려 나가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집 규모를 줄여 이사가면서 침구류 등 상당수 가구를 버릴 수밖에 없는 일까지 생겨 서민들의 시름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전세물건 구하기 어려워
급등한 전셋값을 마련하기 힘든 세입자들은 우선 평형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30평형대에 거주하던 사람은 20평형대로,20평형대에 거주하던 사람은 10평형대로 이동하는 식이다.
서울 구로동 U아파트 21평형에 사는 김오승씨(34)는 오는 5월 전세계약 만기를 앞두고 밤잠을 설치고 있다. 2년 전 주변 시세보다 싼 7500만원에 신혼집을 마련했지만,전셋값이 현재는 1억3000만~1억4000만원대로 올랐기 때문이다. 김씨는 "주변에서 10평형대 아파트를 찾고 있지만,전세물건을 구하기가 쉽지 않다"며 "어떻게 해야 할지 답답할 뿐"이라고 하소연했다.
◆아파트에서 다가구주택으로
전세물건이 부족하다보니 아파트에 거주하던 세입자들이 줄줄이 다세대.다가구주택 등으로 이동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일단 전셋값이 같은 평형 아파트보다 최고 수천만원 싸기 때문이다.
예컨대 돈암동 24평형 아파트의 전셋값은 1억3000만원 안팎인 데 비해 주변 다세대주택 전셋값은 9000만원 정도다. 돈암동 D부동산 관계자는 "아파트 전세물건이 워낙 귀하다보니 손님들이 다가구 또는 다세대주택을 많이 찾는다"며 "하지만 다세대주택 역시 전셋값이 많이 뛴 상황이어서 그냥 발길을 돌리는 사람도 적지 않다"고 설명했다.
성북동에 거주하는 송모씨(40)는 "자녀가 두 명이어서 평형을 줄여가기도 만만치 않다"며 "주변 연립주택으로 이사가거나 대출을 받아 전셋값 상승분을 충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한숨을 쉬었다.
갈 곳이 마땅치 않다보니 울며 겨자먹기로 은행 대출을 받아 전셋값을 올려주는 경우도 허다하다. 분당신도시 시범단지 33평형 아파트에 사는 김모씨(42)는 "집주인이 7000만원을 더 줘야 계약을 연장해 주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며 "주변에 알아보니 다른 곳도 비슷한 상황이어서 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했다"고 말했다.
◆도심에서 외곽으로
용산구 청파동의 20평형 빌라에 사는 김모씨(41)는 주말만 되면 경기 남양주시 일대의 부동산 중개업소를 돌아다닌다. 집주인이 다음 달 전세계약 만료를 앞두고 2500만원을 더 올려달라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서울 도심에서 전셋집을 구하고 싶지만 원하는 가격에 물건을 구하는 게 불가능하다"며 "회사와 거리가 멀더라도 수도권 외곽으로 나가는 길밖에 없는 것 같다"고 한숨을 쉬었다.
경기 용인에 거주하는 이모씨(39)는 "부산에서 거주하다 수도권 지사로 발령받아 용인에서 전세로 살고 있다"며 "현재 소유 중인 부산 아파트값보다 용인 전셋값이 두 배 이상 높아 어느새 도시 빈민층으로 전락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입주를 앞두고 있는 동탄 등 신도시의 경우 입주 3~4개월 전에 미리 계약해 두려는 세입자가 늘고 있다. 동탄 S공인 관계자는 "서울이나 수도권 전셋값이 워낙 뛰다보니 요즘엔 입주를 한참 남겨놓고 미리 계약하려는 사람이 많다"며 "소유주 입장에서도 잔금 걱정을 덜 수 있어 이런 식의 계약이 꽤 이뤄지는 편"이라고 귀띔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