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 내일 감찰委 열어 제이유 수사검사 `중징계' 권고

다단계 업체 제이유그룹과 부적절한 돈 거래 의혹으로 검찰 수사 대상에 올랐다가 무혐의 처리된 이재순 전 청와대 사정비서관이 최근 법무부에 복직 신청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법무부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은 최근 검찰에 복귀하겠다는 내용의 복직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 전 비서관은 신임 검사 임용 절차에 따라 외부 인사가 참여하는 검찰 인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복직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이 전 비서관은 제이유 납품업자였던 강모(46.여)씨와 오피스텔 매매와 관련해 1억여원의 돈거래를 한 의혹 등에 대해 검찰 조사를 받았으나 검찰은 "정상적인 거래로 드러났고, 부당하게 제이유의 영업에 개입하거나 로비를 받은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무혐의 처분했다.

미국에 체류 중인 이 비서관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검찰에 큰 애정을 갖고 있는 만큼 복직 신청이 받아들여진다면 새로 맡을 일을 수행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사법시험 26회인 이 전 비서관은 2005년 서울중앙지검 형사3부장으로 재직하다 청와대 사정비서관으로 임명됐으며 제이유 의혹이 불거지자 작년 12월 사표를 냈다.

검찰은 그러나 제이유 사업자로 활동한 이 전 비서관 가족 6명이 제이유 영업이 중단된 작년 12월 이후 1억5천여만원의 특별보상 수당을 받은 부분은 서울중앙지검 부패범죄특별수사본부에 재배당해 사법처리 여부를 추후 결정키로 했다.

대검 감찰부도 14일 오후 4시 외부인사 등으로 구성된 감찰위원회를 열고 거짓진술을 강요했다는 의혹을 받아온 제이유 수사팀의 백모 검사와 김모 부장검사에 대한 징계 수위를 논의한다.

대검 관계자는 "검사의 품위를 손상한 만큼 감찰위원회가 백 검사에 대해서는 중징계(감봉ㆍ정직ㆍ면직)를 검찰총장에게 권고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검사 징계는 대검 자문기구인 검찰위원회 회의와 검찰총장의 청구,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 의결 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정권에 치명적인 검사들 (있건 없건) 다 좋으나 불법수사는 안 된다"고 전제한 뒤 "정권과 대통령을 겨냥하는 것은 좋지만 합법적으로 하라"고 강조해 이 전 비서관을 불법 수사의 희생양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 조성현 기자 eyebrow76@yna.co.kr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