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집값 급등으로 올해 주택 공시가격이 최고 60% 이상 올라 재산세,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가 지난해보다 최고 3배까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처음으로 공시가격이 6억원을 넘어 종부세를 내야 하는 주택들이 많아 피부로 느끼는 세금 부담이 클 전망이다.


◆공시가격 60% 이상 오른 곳 많아

14일 건설교통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일제히 공개한 전국 1333만가구의 주택 공시가격에 따르면 지난해 집값이 급등한 지역의 아파트 공시가격이 크게 올랐다.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의 경우 대부분 아파트 공시가격 상승률이 50%를 넘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목동 9단지 38평형은 지난해 5억5200만원에서 8억9600만원으로 무려 62.3% 상승했다.

7단지 35평형도 6억원에서 9억2000만원으로 53% 급증했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인 삼성동 아이파크 104평형은 39억9200만원에서 48억2400만원으로 20.8% 올랐다.

금액으로는 8억3200만원 증가해 전국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50% 가까이 높아졌다.

34평형이 6억6200만원에서 48.6% 오른 9억8400만원,31평형은 44.4% 오른 8억3200만원이었다.

잠실 주공5단지 35평형(13층)은 7억8400만원에서 10억6400만원으로 35.7% 상승했다.

지난해 집값 상승률이 50%를 넘었던 과천의 주공10단지 40평형(3층)은 11억6000만원으로 45% 올랐다.

분당의 대표적 주상복합 아파트인 파크뷰는 54평형(25층)이 10억4000만원에서 34.6% 상승한 14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단독주택 가운데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이태원동 주택이 작년보다 7.3% 오른 91억4000만원으로 나타나 전국에서 가장 비싼 집에 올랐다.

◆6억원 넘는 주택 보유세 급증

올해 공시가격이 종부세 부과 대상인 6억원을 넘은 주택은 보유세 부담이 엄청나게 늘어난다.

보유세 부담 상한선이 2년 연속 전년의 300%로 유지된 데다 올해 종부세 과표도 80%(작년 70%)로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작년에 공시가격이 4억~5억원 선이었다가 올해 6억원을 넘어선 주택은 재산세 외에 종부세를 새로 내야 해 충격파가 훨씬 크다.

서울 양천구 목동 신시가지 7단지 35평형이 대표적이다.

이 아파트는 올해 공시가격이 9억2000만원으로 작년보다 53.5% 높아져 보유세(지방교육세,도시계획세 등 부가세 제외)가 지난해 124만원에서 올해는 372만원으로 세금 부담 상한선(전년의 3배)까지 뛴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 31평형도 보유세가 작년 118만원에서 올해 309만6000원으로 162.4% 급증할 전망이다.

특히 34평형은 종부세만 놓고 볼 때 작년(27만9000원)의 8.8배인 244만8000원을 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104평형의 경우 지난해 4277만8000원이던 보유세가 올해 6202만4000원으로 45% 증가한다.

수도권에서는 과천 주공 1단지 27평형(공시가격 7억5400만원)의 보유세가 247만원으로 작년의 202%로 늘어난다.

분당 파크뷰 33평형(공시가격 7억8400만원)은 271만원으로 55% 증가한다.

◆6억원 이하는 세금 증가율 10% 이하

반면 6억원 이하 주택은 재산세만 내는 데다 세금 부담이 10%까지만 늘어날 수 있게 제한돼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다.

서울 양천구 목동2차 삼성래미안 32평형의 경우 공시가격이 작년 2억6800만원에서 올해는 4억4400만원으로 66%나 올랐으나,재산세는 상한선(10%)이 적용돼 작년(41만원)보다 4만1000원 늘어난 45만1000원에 불과하다.

용산구 한강로3가 쌍용스윗닷홈 34평형도 올해 공시가격이 3억74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2.7% 올랐지만 재산세는 지난해 57만원에서 올해는 62만7000원만 내면 된다.

강북구 미아동 경남아너스빌 33평형은 올해 공시가격이 2억5600만원으로 작년보다 5900만원 올랐지만 재산세는 24만6000원으로 지난해보다 1만1000원 오르는 데 그칠 전망이다.

원종훈 세무사는 "올해 공시가격이 크게 올라 전반적으로 보유세 부담도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특히 6억원 초과 고가 주택 소유자들의 부담이 상당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문권/이정선 기자 m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