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적 중립.복지국가 체제 유지 이견 없어

북유럽의 강소국인 핀란드의 총선이 18일 실시된다.

핀란드 경제가 호조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치러지는 이번 선거에서는 마티 반하넨 총리가 이끄는 중도당의 재집권이 유력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집권 중도당과 연정에 참여하고 있는 사민당, 그리고 야당인 보수당 등 주요 정당들이 군사적 중립 정책과 사회 복지국가 체제의 지속에 모두 동의함에 따라 뚜렷한 선거 쟁점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다만 재정 운용과 감세 정책 등을 둘러싼 경제 문제에서 일부 이견을 보이고 있다.

총선을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에서는 반하넨 총리의 대중적 인기에 힘입어 중도당이 앞서 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민당과 보수당이 근소한 차이로 그 뒤를 이어 투표 결과에 따라 연정의 형태가 바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선거 분석가들은 중도당이 이변이 없는 한 제 1당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사민당과 보수당 간 득표율 차이에 따라 연정 구성이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사민당과 보수당 간 득표율 차이가 클 경우에는 중도당과 사민당의 중도좌파 연정이 유지되고 득표율에 차이가 별로 없을 경우에는 중도당이 보수당과 손잡고 중도우파 연정을 구성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반하넨 총리 정부는 지난 4년 동안 일자리를 10만개나 늘려 실업률을 줄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지난해 재정흑자가 3%에 달하는 등 재정운용에도 여유가 있어 재정지출 확대와 감세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경제 성장은 세계경제의 호조에 따른 것일 뿐이며 저임 노동자의 증가, 제지 산업 및 첨단 기술 산업의 경쟁력 약화 등의 문제가 핀란드 경제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번 총선에서 핀란드의 군사적 중립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핀란드는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가입하지 않고 있으나 러시아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나토에 가입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핀란드 국민 대부분이 나토 가입에 반대하고 있어 어느 정당도 나토 가입을 정책으로 내세우지 못하고 있다.

420만명의 유권자가 200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핀란드 총선에서는 18개 정당에서 2천여명의 후보가 경쟁하고 있다.

이번 총선은 핀란드가 여성에게 투표권을 인정한 지 100년이 되는 것을 기념하는 의미가 있다.

핀란드는 1907년 뉴질랜드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여성에 대해 투표권을 부여했다.

(베를린연합뉴스) 송병승 특파원 songb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