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은행인 중국인민은행이 1년 만기 여수신 금리를 0.27%포인트 올리는 등 금리인상 조치를 단행했다. 지난해 4월 이후 11개월 사이에 벌써 세 번째다.

이번 조치는 경기속도 조절과 인플레 억제, 자산거품 방지 등을 위한 중국 당국의 의지가 얼마나 강한지 선명히 드러내준다. 물론 이 정도 금리인상으로 4년 연속 두자릿수 성장세를 기록하는 등 상승일로인 경제의 기세(氣勢)를 누그러뜨릴 수 있을지엔 의문도 없지 않다. 하지만 중국당국의 과열억제 의지가 확고한 데다 과도한 경기확장이 계속되면 추가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투자확대에 대한 경계감을 높이고 소비심리를 냉각시키는 데 상당한 효과가 있을 전망이다.

세계경제에 미칠 영향도 적지가 않다. 당장 우려되는 것은 주가 폭락과 세계증시의 동반하락을 초래하는 차이나 쇼크가 재발되지나 않을까 하는 점이다. 물론 이번 금리인상은 전혀 의외(意外)의 조치는 아니어서 그런 확률은 낮아 보이지만 단기적 충격으로 작용할 가능성은 배제하기 어렵다. 또 금리인상이 위안화 절상 압력을 가중시키면서 외환시장을 크게 출렁거리게 만들 여지도 없지 않다. 하지만 중국경기가 둔화되면 최근 급격히 치솟은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향조정되면서 세계경제 안정에 도움을 주는 측면도 기대된다는 점에서 꼭 부정적으로 볼 일만은 아니다.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 역시 양면(兩面)적이다. 금리인상과 위안화 가치 상승은 중국상품의 가격상승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만큼 세계시장에서 우리 상품의 입지를 넓혀줄 수 있다. 또 중국증시의 열기 둔화는 외국계 자금의 발길을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한국 등으로 향하게 만들어 증시 활성화에 보탬이 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이미 중국에 진출한 기업들은 물론 중국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엔 큰 경영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특히 중국은 우리의 최대 수출시장이어서 더욱 우려가 크다. 위안화 가치가 상승할 경우 원화 역시 동반상승세를 나타낼 가능성이 없지 않은 점 또한 큰 부담 요인이다. 뿐만 아니라 중국의 경제체제도 물권법의 시행 등으로 상당한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우리 정부와 기업들은 그 같은 사회변화와 함께 금리인상이 가져올 변화들에 대해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서둘러 마련하는 등 부작용을 최소화시키는 데 만전을 기해 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