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금리인상 배경.전망] 인플레.자산 버블잡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초에는 이 정도 사려면 100위안 조금 더 들었는데 오늘은 260위안(약 3만1200원) 냈어요."
중국 베이징시 국제전람관 옆에 위치한 슈퍼마켓 징커룽에서 18일 만난 주부 가오란씨(29). 두 식구가 2주일간 먹을 양식인 채소 생선 고기와 우유 비누 등이 담긴 카트를 가리키며 "물건을 사는 데 돈이 너무 든다"고 불평했다.
이곳에서 차로 20여분 떨어진 왕징 훙차오시장.채소와 과일 등을 주로 파는 재래시장인 이곳에선 몇 마오(1마오는 한화 12원)를 두고 흥정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중국 인민은행이 18일부터 금리를 0.27%포인트 올린 것은 이처럼 물가가 빠른 속도로 오르기 때문이다. 최근 11개월 새 세 번째 금리 인상이다. 작년 12월 2.8% 오른 소비자물가는 1월에 2.2%,지난달 2.7%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 외에도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의 버블(거품)을 잡기 위해서다. 지난 2월 무역흑자는 월간 기준 사상 두 번째로 많은 238억달러. 이렇게 많은 돈이 풀려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에 거품을 일으킬 경우 과도한 상승과 급락 등을 초래할 우려가 높다는 게 중국 당국의 우려다. 달아올랐던 증시가 지난달 말 급락한 것처럼 과잉 유동성에 따른 버블 장세의 불안감은 여전히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올 들어 1~2월 주요 도시 지역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23.4% 늘었다. 작년 한 해의 증가율 24.5%보다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마카이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은 "대출이나 소비가 조금 둔화했지만 아직은 안정적이지 못하다"며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금리 인상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중국이 긴축적인 금융정책을 실시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그럼에도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10.7%로 11년래 최고를 기록,정부 의지가 제대로 먹혀들지 않고 있다. 인젠펑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0.27%포인트 금리 인상으로는 과잉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정부는 또 금리를 올리거나 대규모 채권을 발행하는 한편 지준율을 올리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금융정책 외에도 과열 투자를 안정시키기 위해 행정적인 조치도 취할 계획이다. 산업단지로 활용되는 토지의 가격에 최저 수준을 설정,사용자의 부담을 높이고 공장 등에 대한 환경 규제를 더 까다롭게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외경제정책연구소 베이징사무소 지만수 박사는 "금리 0.27%포인트 상승이 당장 한국기업의 대중 수출 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중국 정부가 계속적인 긴축정책을 펼 수밖에 없고 무역흑자 줄이기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여 대중 수출기업은 물론 한국기업들도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
중국 베이징시 국제전람관 옆에 위치한 슈퍼마켓 징커룽에서 18일 만난 주부 가오란씨(29). 두 식구가 2주일간 먹을 양식인 채소 생선 고기와 우유 비누 등이 담긴 카트를 가리키며 "물건을 사는 데 돈이 너무 든다"고 불평했다.
이곳에서 차로 20여분 떨어진 왕징 훙차오시장.채소와 과일 등을 주로 파는 재래시장인 이곳에선 몇 마오(1마오는 한화 12원)를 두고 흥정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중국 인민은행이 18일부터 금리를 0.27%포인트 올린 것은 이처럼 물가가 빠른 속도로 오르기 때문이다. 최근 11개월 새 세 번째 금리 인상이다. 작년 12월 2.8% 오른 소비자물가는 1월에 2.2%,지난달 2.7%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금리 인상은 물가 상승 외에도 부동산과 주식 등 자산가격의 버블(거품)을 잡기 위해서다. 지난 2월 무역흑자는 월간 기준 사상 두 번째로 많은 238억달러. 이렇게 많은 돈이 풀려 부동산 시장과 주식시장에 거품을 일으킬 경우 과도한 상승과 급락 등을 초래할 우려가 높다는 게 중국 당국의 우려다. 달아올랐던 증시가 지난달 말 급락한 것처럼 과잉 유동성에 따른 버블 장세의 불안감은 여전히 투자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들고 있다.
올 들어 1~2월 주요 도시 지역의 고정자산투자 증가율도 23.4% 늘었다. 작년 한 해의 증가율 24.5%보다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마카이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은 "대출이나 소비가 조금 둔화했지만 아직은 안정적이지 못하다"며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위해 금리 인상이 필요했다"고 말했다.
중국이 긴축적인 금융정책을 실시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그럼에도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10.7%로 11년래 최고를 기록,정부 의지가 제대로 먹혀들지 않고 있다. 인젠펑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은 "0.27%포인트 금리 인상으로는 과잉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정부는 또 금리를 올리거나 대규모 채권을 발행하는 한편 지준율을 올리는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은 금융정책 외에도 과열 투자를 안정시키기 위해 행정적인 조치도 취할 계획이다. 산업단지로 활용되는 토지의 가격에 최저 수준을 설정,사용자의 부담을 높이고 공장 등에 대한 환경 규제를 더 까다롭게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대외경제정책연구소 베이징사무소 지만수 박사는 "금리 0.27%포인트 상승이 당장 한국기업의 대중 수출 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중국 정부가 계속적인 긴축정책을 펼 수밖에 없고 무역흑자 줄이기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여 대중 수출기업은 물론 한국기업들도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조주현 특파원 fore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