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석래 효성그룹 회장이 19일 제31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회장으로 추대됐다.

1961년 전경련 창립 이후 모두 12명의 회장이 전경련을 이끌었다.

조 회장이 추대를 수락하면 46년의 역사를 가진 전경련의 13번째 회장으로 취임하는 것이다.

전경련 회장은 재계의 대표라는 상징성을 갖는 자리이지만 선뜻 맡기에는 부담스러운 자리이기도 하다.

72세의 고령에도 아직 경영 일선을 왕성하게 누비고 있는 조 회장은 전경련 회장직에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계를 대표하는 조직임에도 불구하고 전경련은 이른바 '실세형 총수'들이 수 년째 회장직을 고사하면서 대외 위상이 크게 약해진 게 사실이다.

일각에서는 역할에 대한 폄하가 지나쳐 '전경련 무용론'까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지난달 정기총회에서 회장단 내 갈등을 노출하며 적지 않은 상처를 입었다.

따라서 조 회장은 수락에 앞서 '개인의 영광'보다는 자신 앞에 놓인 과제와 부담을 더욱 무겁게 느낄 것으로 보인다.

조직을 추스르고 재계 수장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리더십을 발휘해 풀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새 회장으로서 강한 압박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산적한 현안 해결할까

당장 조 회장 앞에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이라는 국가적 대사가 기다리고 있다.

스스로 한미재계회의 한국위원장을 맡아 한·미 FTA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조 회장이지만 전경련 회장으로서 갖는 의견과 발언의 무게감은 종전과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한·미 FTA 최종 협상을 앞두고 동일 업종 내 경쟁 등으로 인해 결집력이 약해진 재계의 이해관계를 얼마나 통합하고 조정해낼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출자총액제한 규제 문제를 놓고 아직도 국회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공정거래법 개정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사안이다.

여기에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정유업계에서 시작한 카르텔(담합) 조사를 교복과 아이스크림 업계 등으로 무차별적으로 확대하고 있는 데 대한 재계의 불만도 해결해야 한다.

특히 카르텔 문제는 전경련이 차기 회장 선출을 놓고 진통을 겪는 과정에서 발생,공정위가 거의 무인지경으로 재계를 몰아붙이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이 밖에 전경련 회장으로서 받을 업무 보고내용에는 △기업도시 활성화 △상속세제 개편 △기업인 사면 확대 △상법 개정안 재개정 등 경제계의 수많은 현안들이 담겨 있어 조 회장의 어깨를 무겁게 할 것으로 보인다.

◆일하는 조직 만들어야

그동안 전경련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목소리는 "제 역할을 못한다"는 것이었다.

정부와의 관계나 정책과제를 조율해야 할 시기에 재계의 입장을 대변하고 관철하려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지적이다.

물론 전경련 사무국 임직원들이 '손을 놓고 있다'고 일방적으로 몰아붙일 수는 없다.

사무국의 일손은 여전히 바쁘고 회의도 많다.

그럼에도 재계의 비판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정부의 정책에 대해 재계의 입장을 대변해야 할 상황에서도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않았다는 비판이 거세다.

의견을 개진해야 할 때는 침묵하고 있다가,정작 일이 다 틀어지고 난 뒤에 김 빠진 논평이나 내며 '면피'에만 급급해 왔다는 지적이다.

2004년에 터진 금산법 파동,지난해 노동계 총파업이나 올해 현대자동차 파업사태 등에 대한 대응이 대표적이다.

"전경련이 정부 눈치나 보고 있으면 되겠느냐"는 질문에는 "정부와 싸우면 무엇하겠느냐.그런 시대가 아니다"라는 훈계성 대답(사무국 고위 관계자)만 돌아왔다.

그러는 동안 금산법은 국회를 통과했고,출총제는 기어이 살아남았으며 상법 개정안에는 재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리고 이런 사실을 재계의 알 만한 이들은 모두 알고 있다.

◆재계 화합 이뤄낼까

여러 가지 현안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인 재계의 단합을 이끌어내야 하는 책무 또한 결코 가볍지 않다는 지적이다.

이미 조 회장 스스로 정기총회에서 회장단 내부의 갈등과 반목을 낱낱이 목격한 바 있다.

여기에다 경방(김각중) 동아제약(강신호)에 이어 자신(효성)에 이르기까지 중소 또는 중견 그룹 출신이 전경련 회장을 맡았다는 '핸디캡'을 극복해야 한다는 의견 또한 적지 않다.

사실 회장단 내 크고 작은 갈등관계의 근원은 강력한 구심점이 없다는 것이다.

삼성 현대자동차 LG SK 등 4대 그룹 총수들의 참여도를 높이는 게 조 회장이 가장 먼저 풀어야 할 과제다.

4대 그룹 회장들의 참여도가 높아지면 재계의 전체 참여도도 높아지기 때문이다.

조일훈 기자 ji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