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생 10명중 8명 영어 사교육 받아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특목고 열풍과 영어조기교육 붐이 사교육비가 폭증한 원인이다."
교육인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사교육비 절감 대책은 특목고와 영어조기교육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교육부가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결과 이 두 부문과 관련된 사교육 비용이 당초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특목고 진학을 희망하는 초등학생의 94.2%,중학생 중 87.6%가 학원수강이나 개인교습을 받고 있었다.
이들은 특목고를 희망하지 않는 일반 학생보다 월 평균 11만5000원의 사교육비를 더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단계에서 사교육비를 끌어올리는 것은 조기 영어교육이다.
전체 초등학생 중 81%가 영어과목 사교육을 받고 있었는데 이는 예체능 사교육을 받는다는 응답(34%)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영어교육의 시작 시기는 대부분 초등학교 저학년(60.7%)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지역의 사교육비가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도 수치로 확인됐다.
서울 강남지역 고등학생들 중 57.6%가 연간 500만원 이상을 사교육에 쓰고 있었다.
반면 읍·면지역 학생 중 연간 500만원 이상을 쓰는 학생의 비중은 4.7%에 불과했다.
정부는 특목고와 함께 학원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한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
교육부는 우선 학원 수강료 표시제를 도입,주요 학원의 수강료와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교육인적자원부가 20일 발표한 사교육비 절감 대책은 특목고와 영어조기교육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
교육부가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3학년,고등학교 2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결과 이 두 부문과 관련된 사교육 비용이 당초 예상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특목고 진학을 희망하는 초등학생의 94.2%,중학생 중 87.6%가 학원수강이나 개인교습을 받고 있었다.
이들은 특목고를 희망하지 않는 일반 학생보다 월 평균 11만5000원의 사교육비를 더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단계에서 사교육비를 끌어올리는 것은 조기 영어교육이다.
전체 초등학생 중 81%가 영어과목 사교육을 받고 있었는데 이는 예체능 사교육을 받는다는 응답(34%)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영어교육의 시작 시기는 대부분 초등학교 저학년(60.7%)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강남지역의 사교육비가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다는 사실도 수치로 확인됐다.
서울 강남지역 고등학생들 중 57.6%가 연간 500만원 이상을 사교육에 쓰고 있었다.
반면 읍·면지역 학생 중 연간 500만원 이상을 쓰는 학생의 비중은 4.7%에 불과했다.
정부는 특목고와 함께 학원들에 대한 규제를 강화해 사교육비 문제를 해결한다는 복안을 가지고 있다.
교육부는 우선 학원 수강료 표시제를 도입,주요 학원의 수강료와 관련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일반에 공개할 예정이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