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로 뛴다] 현대증권‥中·印·베트남 시장 공략 잰걸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증권은 이미 진출해 있는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와 함께 아직 국내 증권사가 개척하지 못한 신흥 시장을 통한 수익 다각화 전략을 해외 시장 공략의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다.
미국을 비롯해 영국 일본 홍콩 등 주요 국제 금융시장에는 이미 현지 법인 형태로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최근 국제 금융시장의 글로벌화에 발맞춰 영업인력을 보강하는 등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홍콩 법인의 경우 지난해 5월 열린 증권선물거래소 주최 IR를 단독 후원하기도 했다.
신규 시장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중국 인도 베트남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중심으로 떠오른 중국의 경우 국내 증권사 가운데 가장 발빠르게 진출, 시장 개척을 선도하고 있다.
2005년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중국 국유은행의 부실자산 2억달러를 증권 형태로 유동화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중국 상하이 마린타워 프로젝트 파이낸싱에도 1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완료했다.
또 중국에서의 한류 상품성 증대에 착안해 MBC와 함께 한·중 합작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는 '한류사모펀드'를 조성했다.
'중국부동산투자펀드' 조성도 검토하는 등 IB(투자은행)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과 함께 급부상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언어 전공자 출신 등의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한편 IB사업 해외유가증권 발행 등 다양한 경로의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부동산 투자를 집행 중인 필리핀 베트남 호주 등지에는 올해 추가로 17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해 총 3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현대증권은 이들 지역의 현지 부동산 투자에서 약 500억원의 수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해외 투자 시장 확대 차원에서 중국 및 베트남 IPO(기업공개) 관련 펀드에도 300만달러를 투자해 놓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아직 국내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진출하지 않은 몽골 카자흐스탄 등지로 눈을 돌리고 있다.
김지완 사장이 연초 해외 주요 공략 지점을 둘러보는 출장길에 직접 현지 관계자들을 만나는 등 '제3지역' 공략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베트남 현지어 전공자에 이어 몽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력도 선발할 예정이다.
오일 달러 유입으로 빠른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 카자흐스탄에는 이미 아파트 개발사업에 100억원을 투자해 놓은 상태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중앙아시아 지역이 오일 달러로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이들 지역의 자원 관련 투자사업에 대한 지분 참여 등 다각적 진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기존 선진 시장에서의 투자 확대와 함께 이머징 마켓에 대한 공격적 투자로 대형 IB의 면모를 갖춰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미국을 비롯해 영국 일본 홍콩 등 주요 국제 금융시장에는 이미 현지 법인 형태로 진출해 있는 상황이다.
최근 국제 금융시장의 글로벌화에 발맞춰 영업인력을 보강하는 등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홍콩 법인의 경우 지난해 5월 열린 증권선물거래소 주최 IR를 단독 후원하기도 했다.
신규 시장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중국 인도 베트남 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의 새로운 중심으로 떠오른 중국의 경우 국내 증권사 가운데 가장 발빠르게 진출, 시장 개척을 선도하고 있다.
2005년 업계에서는 처음으로 중국 국유은행의 부실자산 2억달러를 증권 형태로 유동화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중국 상하이 마린타워 프로젝트 파이낸싱에도 1000만달러 규모의 투자를 완료했다.
또 중국에서의 한류 상품성 증대에 착안해 MBC와 함께 한·중 합작 드라마 제작에 참여하는 '한류사모펀드'를 조성했다.
'중국부동산투자펀드' 조성도 검토하는 등 IB(투자은행) 사업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중국과 함께 급부상한 인도 베트남 등 신흥 시장 진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이들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언어 전공자 출신 등의 전문인력을 확보하는 한편 IB사업 해외유가증권 발행 등 다양한 경로의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부동산 투자를 집행 중인 필리핀 베트남 호주 등지에는 올해 추가로 17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해 총 3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현대증권은 이들 지역의 현지 부동산 투자에서 약 500억원의 수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해외 투자 시장 확대 차원에서 중국 및 베트남 IPO(기업공개) 관련 펀드에도 300만달러를 투자해 놓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아직 국내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진출하지 않은 몽골 카자흐스탄 등지로 눈을 돌리고 있다.
김지완 사장이 연초 해외 주요 공략 지점을 둘러보는 출장길에 직접 현지 관계자들을 만나는 등 '제3지역' 공략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를 위해 베트남 현지어 전공자에 이어 몽골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력도 선발할 예정이다.
오일 달러 유입으로 빠른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는 카자흐스탄에는 이미 아파트 개발사업에 100억원을 투자해 놓은 상태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중앙아시아 지역이 오일 달러로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이들 지역의 자원 관련 투자사업에 대한 지분 참여 등 다각적 진출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기존 선진 시장에서의 투자 확대와 함께 이머징 마켓에 대한 공격적 투자로 대형 IB의 면모를 갖춰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