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증권은 회사 규모는 작지만 그룹 차원에서 해외 진출을 적극 시도 중이며, 그 첨병 역할을 맡고 있다.

골든브릿지금융그룹은 특히 아시아지역 사업 확대를 통해 '아시아의 강소 투자은행'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 같은 목표에 발맞춰 브릿지증권은 지난해 10월 중국 완제(万杰)그룹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앞선 노하우를 활용해 투자에 대해 자문하고 구조조정 작업도 도와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완제그룹의 철강사업 다각화와 의료산업 선진화에 필요한 자금조달 및 전략투자자 유치 등을 위한 포괄적 자문과 공동투자를 맡고 있다.

브릿지증권은 또 중국 산둥성과 상호교류 및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는 상황이다.

베트님시장 공략도 가속화하고 있다.

계열사인 골든브릿지자산운용에서 지난해 베트남투자 사모펀드를 출시한 데 이어, 올 2월엔 베트남 공모펀드를 선보였다.

이 펀드의 장점은 수익성이 높은 투자처를 마련한 이후에 펀드를 모집한 것이라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회사 관계자는 "다른 운용사들은 베트남 펀드를 먼저 모집한 뒤 투자 대상을 물색하고 고민하는 것과 달리, 골든브릿지운용은 장기간 투자가 가능한 투자처를 먼저 확보한 뒤 가능성을 확인하고 베트남 펀드를 모집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브릿지증권의 해외 진출은 그룹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실시되고 있다.

모기업인 골든브릿지는 이미 작년 9월에 베트남 하노이사무소를 법인으로 승격시켰고, 호찌민에도 사무소 설치를 준비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브릿지그룹은 4년 전부터 베트남 시장에 대한 연구를 축적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해 오고 있다.

또 일회성이 아닌 베트남에서의 장기적인 투자기반을 다지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필수적인 정관계 네트워크 구축, 베트남상공회의소(VCCI) 베트남투자공사(SCIC) 등 현지 금융 관련 기관과의 MOU 체결 등 사전 준비작업도 치밀하게 진행하고 있다.

중앙아시아도 공략 대상이다.

골든브릿지는 키르기스스탄에 신탁회사 설립을 추진 중이다.

또 카자흐스탄에서는 국립공학아카데미의 재정 후원을 통해 자원 광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등 투자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앞으로 이들 지역의 풍부한 자원개발사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회사 측은 "베트남 중앙아시아 등 아시아권에 특화된 금융회사로 자리잡는다는 목표 아래 역내 투자자들의 신뢰를 쌓고 독자적인 경쟁력을 갖춰 나가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백광엽 기자 kecor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