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계열사들이 속속 정상화하면서 대우 사태로 투입한 공적자금 회수율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당시 자산관리공사는 대우 관련 부실채권 35조7000억원어치를 할인해 인수했으며,예금보험공사는 금융기관의 대우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 비율을 환산해 금융사에 직접 자금을 지원했다.

공적자금은 국민의 혈세인 만큼 회수율이 부진하면 그만큼 대우가 국민들에게 폐를 많이 끼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대우그룹의 주력사로 1999년 말 워크아웃에 들어간 회사들은 대부분 경영 정상화에 성공함으로써 기업 가치가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우에서 분할해 나온 대우건설이 지난해 금호아시아나그룹에 팔리는 등 대우인터내셔널(옛 대우)과 대우조선을 제외한 많은 기업들이 새 주인을 맞았다.

대우그룹 비서실에 근무했던 한 인사는 "대우 계열사의 현재 추정 가치는 53조원가량으로 워크아웃 당시 채권 추정 금액인 44조원보다 많다"며 "출자 전환 등을 통해 채권자들이 보유한 지분 가치만 따져도 약 42조원으로 채권자들의 손실은 어느 정도 보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05년 6월 재정경제부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대우계열 총 차입금은 1997년 28조7000억원에서 이듬해 43조9000억원으로 53%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외환위기가 대우그룹에 어느 정도 충격을 줬는지 보여주고 있다.

공적자금도 작년 말 기준으로 대우 계열사의 주식 가치에 비춰볼 때 자산관리공사(캠코)의 경우 투입액 12조7000억원보다 훨씬 많은 16조4000억원가량을 회수할 것으로 보이며,예금보험공사도 보유 지분 매각 등을 감안하면 13조원 정도를 회수할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의 공적자금 회수 방법은 지원한 금융기관의 주식 매각 또는 평가 등을 통해 회수액을 추정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29조원에 달하는 대우 관련 공적자금 투입액 대부분을 되찾을 전망이다.

지원 시점과 현 시점에서 돈의 가치를 감안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지만 대우의 공적자금 회수율은 당초 예상보다 훨씬 높은 게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대우 임직원들은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해 구조조정을 추진했으며 김우중 전 회장과 각 계열사들은 모든 보유 자산을 담보로 내놓았다.

특히 대우건설 대우해양조선 대우종합기계(현 두산인프라코어) 대우자동차(현 GM대우) 등이 빠르게 회생해 국제 경쟁력을 갖춘 것은 인재 육성,기술 개발,해외 시장 개척 등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는 점을 대우맨들은 강조하고 있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