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헌철 SK㈜ 사장이 마라톤을 시작한 사연은 길다.

1996년부터 과로로 인해 시작된 퇴행성 관절염이 빌미였다.

1998년부터는 병원을 다녔다.

계단을 오르내릴 때는 난간을 잡고 다녀야 할 정도였다.

출근하는 신 사장을 보면서 신 사장의 부인은 툭하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신 사장은 완치를 위해 별짓을 다했다.

운동,약,치료 등 좋다는 것은 빼놓지 않았다.

헬스클럽에서 자전거 타기는 365일 매일 한다는 각오로 365회,33세에 돌아가신 아버지를 생각하며 스트레칭은 33회를 했다.

그러던 중 2001년 유니세프(유엔아동기금)가 주최한 국제아동돕기 행사에서 한국암웨이의 김희진 부사장을 만났다.

역설적으로 퇴행성 관절염에는 마라톤이 좋다는 김 부사장의 얘기에 귀가 솔깃해졌다.

그해부터 마라톤을 하기로 마음먹은 신 사장은 맹연습을 시작했다.

처음엔 3.6km 정도를 45분에 뛰었다.

하프코스를 뛰어보라는 권유에 7.2km,다음에는 왕복을 두 번 해 15km를 연습했다.

신 사장은 곧바로 모 신문사 주최 마라톤 풀코스 대회에 도전했다.

걸어서라도 들어오자는 심사였다.

첫 완주 기록은 4시간39분.신기하게 다리의 통증이 없어졌다.

이후 마라톤은 신 사장과 떼려고 해야 뗄 수 없는 운동이 됐다.

단지 운동이 아니라 신 사장에게 특별한 의미를 가진 그 무언가가 된 것.신 사장은 마라톤과 경영에서 큰 공통점을 발견했다.

마라톤과 경영은,다른 사람이 단 1m나 한순간도 안 도와 준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마라톤이든 경영이든 혼자서 처음부터 끝까지 다 해내야 하죠.실행에 옮기면서 마무리까지 모든 것이 자신의 책임인 것입니다.

어느 한 사람도 대신 해줄 수 없죠.마라톤도 그렇고 경영도 마찬가지죠." 신 사장은 요즘도 각 부문장들에게 "결국 결정은 나한테 미루는구먼.정말 고독해"라고 농을 건넨다.

최고경영자(CEO)로서 신 사장 혼자만의 고민이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