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 포항에 노사화합 '봄바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현대車노사ㆍ포스코 협력업체 '우린 이제 한마음'
"'파업도시'는 잊어주세요. 노사가 손잡고 상생의 화합도시 만들겠습니다."
해마다 되풀이되는 노조 파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울산과 지난해 포항건설노조의 장기 파업과 포스코 본사 점거 사태로 '파업도시'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 경북 포항에 노사 상생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1990년 4월 74명의 근로자들이 13일간 노동운동 사상 초유의 '골리앗 고공농성'을 벌였던 현대중공업. 이 회사 노조는 22일 노사화합을 넘어 미래 세대에 희망을 불어넣는 노조로의 대변신을 선언하고 나섰다.
김성호 노조위원장은 이날 창사 35주년을 기념해 열린 '경영철학' 및 '노사공동선언' 선포식에서 "지난 12년간 노사 간 쌓은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제 노사화합은 기본이고,앞으로 다가올 미래 세대를 위해 희망을 불어넣는 노조로 변신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민계식 현대중공업 부회장과 최길선 사장,김성호 노조위원장 등 회사 임직원 5000여명과 이상수 노동부 장관,박맹우 울산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노사는 "기업 발전의 공동 주체로서 책임을 다하자"는 내용의 노사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노조의 이 같은 변신에 회사 측은 이날 지속 성장,투명 경영,상호존중과 신뢰의 노사문화 구축 등 임직원들이 지켜야 할 '경영철학'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도 최근 발표한 올해 사업계획에서 "투쟁전략을 투박하고 거친 형태의 네거티브식이 아니라,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포지티브 형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혀 향후 노사관계 전망을 밝게 했다.
울산시민들은 "현대중공업발(發) 노사화합 훈풍이 20여분 거리에 있는 현대자동차 노조에도 깊이 파고들었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정월대보름 때 노사화합 기원제를 연 '행복도시 울산 만들기 범시민협의회'의 공동의장인 이두철 울산상의회장은 "시민들은 기업을 사랑하고,노와 사는 지역을 사랑하는 선순환 관계가 구축되면 2010년 수출 1000억달러,1인당 시민소득 5만달러 달성으로 세계적인 행복도시가 울산에 건설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지난해 83일간의 포항건설노조 파업으로 지역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렀던 포항에도 노사상생의 훈풍이 불고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과 관련 협력업체 등 300여개 기업체 노사가 포항을 돈과 사람이 몰리는 세계적 노사평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23일 오후 포항축구전용구장에서 포항지역 범 포스코 가족 노사 한마음 선포식을 갖는다.
이날 행사에는 포항건설노조와 회사 측도 참여할 예정이다. 포항에서 포스코와 포스코 관련 협력사,출자사 등이 이처럼 한데 모여 노사화합을 선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노사는 또 최근 해외자본으로부터 적대적 인수합병(M&A) 위기에 놓여있는 포스코를 보호하기 위한 범시민 포스코 주식 사주기 운동에도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승호 포항시장은 "지금 포항의 인구는 50만5900여명으로 50만명 선이 위협받고 있다"며 "포스코와 포스코 관련 협력업체 노사가 대화합을 통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총매진하면 영일만의 자존심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해마다 되풀이되는 노조 파업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울산과 지난해 포항건설노조의 장기 파업과 포스코 본사 점거 사태로 '파업도시'라는 불명예를 안게 된 경북 포항에 노사 상생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1990년 4월 74명의 근로자들이 13일간 노동운동 사상 초유의 '골리앗 고공농성'을 벌였던 현대중공업. 이 회사 노조는 22일 노사화합을 넘어 미래 세대에 희망을 불어넣는 노조로의 대변신을 선언하고 나섰다.
김성호 노조위원장은 이날 창사 35주년을 기념해 열린 '경영철학' 및 '노사공동선언' 선포식에서 "지난 12년간 노사 간 쌓은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이제 노사화합은 기본이고,앞으로 다가올 미래 세대를 위해 희망을 불어넣는 노조로 변신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날 민계식 현대중공업 부회장과 최길선 사장,김성호 노조위원장 등 회사 임직원 5000여명과 이상수 노동부 장관,박맹우 울산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노사는 "기업 발전의 공동 주체로서 책임을 다하자"는 내용의 노사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노조의 이 같은 변신에 회사 측은 이날 지속 성장,투명 경영,상호존중과 신뢰의 노사문화 구축 등 임직원들이 지켜야 할 '경영철학'을 선언했다.
민주노총 울산본부도 최근 발표한 올해 사업계획에서 "투쟁전략을 투박하고 거친 형태의 네거티브식이 아니라,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포지티브 형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혀 향후 노사관계 전망을 밝게 했다.
울산시민들은 "현대중공업발(發) 노사화합 훈풍이 20여분 거리에 있는 현대자동차 노조에도 깊이 파고들었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정월대보름 때 노사화합 기원제를 연 '행복도시 울산 만들기 범시민협의회'의 공동의장인 이두철 울산상의회장은 "시민들은 기업을 사랑하고,노와 사는 지역을 사랑하는 선순환 관계가 구축되면 2010년 수출 1000억달러,1인당 시민소득 5만달러 달성으로 세계적인 행복도시가 울산에 건설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지난해 83일간의 포항건설노조 파업으로 지역경제가 파탄지경에 이르렀던 포항에도 노사상생의 훈풍이 불고 있다. 포스코 포항제철과 관련 협력업체 등 300여개 기업체 노사가 포항을 돈과 사람이 몰리는 세계적 노사평화도시로 만들기 위해 23일 오후 포항축구전용구장에서 포항지역 범 포스코 가족 노사 한마음 선포식을 갖는다.
이날 행사에는 포항건설노조와 회사 측도 참여할 예정이다. 포항에서 포스코와 포스코 관련 협력사,출자사 등이 이처럼 한데 모여 노사화합을 선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노사는 또 최근 해외자본으로부터 적대적 인수합병(M&A) 위기에 놓여있는 포스코를 보호하기 위한 범시민 포스코 주식 사주기 운동에도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승호 포항시장은 "지금 포항의 인구는 50만5900여명으로 50만명 선이 위협받고 있다"며 "포스코와 포스코 관련 협력업체 노사가 대화합을 통해 지역경제 살리기에 총매진하면 영일만의 자존심을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