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도 이제 온실가스 감축을 주요 경영 목표로 설정해야 한다."

한국공학한림원과 한국경제신문사 주최로 '지구 온난화 대책 충분한가'를 주제로 최근 열린 '제23회 토론마당'에서 최기련 아주대 에너지학과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은 교토의정서상의 온실가스 의무 감축 국가가 아직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총 세 차례의 정부종합대책을 수립해 추진해오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이제 한국도 향후 온실가스 의무 감축 국가에 포함될 경우에 대비해 지금까지보다 더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며 "특히 온실가스 감축으로 인해 타격을 받게 될 기업들의 선제적인 대응 노력이 절실하다"가 강조했다.

최 교수는 "미국의 듀폰사는 그동안 에너지 소비량을 1990년대 대비 무려 70%나 줄여 20억달러를 절약했으며,영국의 BT(브리티시 텔레콤)는 재생 가능한 저탄소 물질 사용으로 11억5000만달러를 아끼는 등 온실가스 감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도요타가 하이브리드 자동차 개발로 세계 자동차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온실가스 감축 문제는 기업들에 또하나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에 대해 토론자로 나선 성준용 연세대 교수(화학공학)는 "현재 한국은 에너지효율 개선을 위한 투자세액 공제가 7%에 불과하다"며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노력하는 데 따라오는 인센티브가 너무 미미하다"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또 "국내에서도 대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 문제에 대해 그동안 상당한 고민을 해 왔고,대한상공회의소에서도 대책위를 만들어 주도적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중소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 문제에 대한 대책이 사실상 전무하다"며 "이는 앞으로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온실가스 감축 문제에 대응하는 정부의 대응이 안이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상훈 환경운동연합 정책실장은 "한국도 이제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해야 할 때가 됐다"며 "그래야만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대한 평가와 개선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실장은 또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추진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기획단'을 신설,각 부처에 흩어져 있는 업무를 총괄토록 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